이지수 편집국장 직무대행

어느새 1년이 다 되어가는 코로나 팬데믹. 전 세계는 코로나19라는 신종 바이러스에 맞서 고군분투하고 있다. 바이러스라는 ‘보이지 않는 적’과의 치열한 전쟁. 언제 끝날지 모르는 전쟁에서 전선은 계속 확대되고 있다.

코로나19 시대에 세계는 언택트 시스템을 중심으로 급속한 변화를 겪고 있다. 이제 우리는 비대면이 일상인 새로운 세상을 살고 있다. 지난 추석명절 고향 방문과 가족 간의 만남을 자제해달라는 정부의 간곡한 요청이 낯설고 당혹스러웠지만, 고개를 끄덕일 수밖에 없었던 것은 코로나가 빨리 종식되길 바라는 간절함 때문일 것이다.

이 엄혹한 시대에, 사회 곳곳에 어두운 그림자가 짙어지고 있다. 경제성장률을 비롯한 자영업자 폐업률, 실업률 등 사회경제지수가 줄줄이 역대 최악을 기록하고 있다. 교육도 예외가 아니다. 코로나로 교육불평등이 확대됐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 교육위원회 이탄희 의원(더불어민주당)이 지난 7일 서울시교육청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5월 27일 등교 개학에 앞서 교육청이 초등학교별 학사운영 계획을 조사한 결과 사립초등학교의 주당 평균 등교수업일수는 4.2일이었다. 공립초등학교의 1.9일에 비해 2배 이상 많은 수준이다. 부모 소득에 따라 학생들의 등교일수 격차가 크다는 사실이 입증된 셈이다.

일부 사립초의 경우 3분의 1 등교 지침이 내려졌던 지난 7월에 3분의 1은 정상 등교를 하고 나머지는 ‘긴급돌봄’ 형태로 등교시켜 수업한 사례도 있었다. 원격수업을 해야 할 학생들이 사정상 등교한 비율은 사립초가 국·공립초의 2∼3배 수준이었다.

이처럼 사립초가 방역지침을 어겨가며 학생들을 등교시킨 데에는 학부모가 방과후학교 비용을 포함해 연간 1300만원의 학비를 지불한다는 점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코로나 시대에 학교 현장에서 소득 불평등이 교육 불평등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공교육의 빈 자리가 너무 크다. “공교육이 무너졌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온 게 어제오늘의 일이 아닌데, 그래도 학교에서 교사는 학생들을 가르치고 우리 아이들은 공부를 했었다. 교문이 닫히고, 2020학년도 대부분을 원격수업에 의존한 교육현장에서 중위권이 무너져 버리고 말았다. 대전지역 한 입시학원 원장에 따르면 현 고3 학생 가운데 모의평가를 끝까지 풀지 못하는 학생의 비율이 지난해에 비해 크게 늘었다고 한다.

1학기를 혼란 속에 보내고, 2학기도 중반을 넘어가면서 더 이상 등교수업을 미룰 수 없다는 여론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이번 주부터 사회적 거리두기가 1단계로 완화됐다. 비로소 매일 등교가 가능해졌다. 하지만 안도의 한숨을 돌릴 새도 없이 대전지역에 추석연휴發 코로나 확진자가 꼬리를 물고 있다. 어린이집·유치원·초등학교 등에서 감염이 일파만파 확산되고 있다.

지역 교육현장은 다시 혼란에 빠졌다. 학력 격차·돌봄 등 우려로 등교수업 확대 목소리가 높았지만 지역의 연쇄감염 사태에 학부모들의 고민이 깊어졌다. 학교를 보내도, 안 보내도 걱정이라는 하소연이다.

이런 우려의 목소리에도, 대전시교육청은 등교수업 확대 방안을 내놓았다. 12일부터 한 주를 준비 기간으로 운영하고, 19일 이후 등교수업을 시작할 계획이다. ‘학력 격차 해소’와 ‘지역감염 차단’이라는 난제를 해결해야 하는 교육청의 고민이 깊어 보인다. 하지만 지역 상황을 면밀히 검토해 현명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교육부 방침만 기다리는 안일한 태도나 타 지역 교육청 눈치보기로는 이 위기를 타개할 수 없다. 대전시교육청에 솔로몬의 지혜를 기대해본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충남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