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 세종 이전과 관련해 산하 공공기관 3곳 마저 세종 이전을 준비하고 있다는 본지기사는 여러 해석을 낳고 있다. 한마디로 대전시의 대처 능력에 한계를 드러내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바로 그것이다.

현재 대전시에는 중기부 공공기관 11곳 중 5곳이 있지만 이중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 창업진흥원, 신용보증재단중앙회는 이미 세종 이전을 확정하고 이전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들 3곳이 모두 세종으로 이전하면 대전에는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하 소진공)만 남게 된다. 이를 둘러싼 설왕설래가 일고 있는 이유이다.

중기부가 세종 이전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경우 산하 공공기관 모두를 세종시에 뺏길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관건은 중기부의 세종 이전 여부이다. 지난 26일 열린 국정감사에서 박영선 중기부 장관은 이전을 반대하는 대전시를 겨냥해 “‘새 술은 새 부대에 담아야 한다’는 옛말이 있듯이 대전시가 혁신도시로 새 출발 하면서 더 큰 발전을 이루는 것이 맞지 않나 생각한다”고 발언한 것은 눈여겨볼 대목이다.

이와 관련해 대전시는 물론 지역경제 단체 및 기업 그리고 대전 정가가 한결같이 불가입장을 천명하고 있지만 가시적인 성과는 여전히 불투명한 실정이다. 한 공공기관 관계자는 “대전지역에서 국회의원, 지자체, 시민 등 모두가 여러 가지 이유를 들며 세종 이전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지만 대전시의 적극적인 행정능력이 없다면 결국 하나둘씩 뺏기는 상황이 계속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는 의미심장한 얘기이다.

이른바 행정수도 세종시 건설 취지는 수도권 과밀화 해결을 통한 지방분권이다. 그런데도 이를 무시한 비수도권의 중기부 세종 이전이라는 작금의 상황은 우려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일각에서는 이전의 근본적인 이유가 공무원아파트 특별공급 때문이라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 같은 움직임을 감지한 중소벤처기업부가 지난 23일 보도참고 자료를 내고 지난 16일 행정안전부에 이전의향서를 제출한 배경을 설명한지 오래다.

문제는 이를 저지할 대전시의 특단의 대책이 무엇이냐에 초점이 모아지고 있다. 중기부의 세종이전이 가시화될 경우 그 파장은 커질 수 밖에 없다. 결코 간과해서는 안 될 중대 사안인 것이다. 우리는 이 시점에서 다시 한 번 유비무환을 떠올린다. 미리미리 대처하면 탈이 없다는 얘기이다. 결론적으로 말해 대전시의 행정 부재가 작금의 상황을 초래했다는 비난이 제기돼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결코 좌시할 수 없다는 대전 시장의 확고한 의지가 어떤 방향으로 가닥을 잡을지 도하언론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충남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