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온빔을 이용한 HfO2 기반 강유전체의 상전이 과정 개념도(사진=성균관대학교 김윤석 교수)
이온빔을 이용한 HfO2 기반 강유전체의 상전이 과정 개념도(사진=성균관대학교 김윤석 교수)

[충남일보 김태진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성균관대 김윤석 교수 연구팀이 차세대 반도체 소재로 주목받고 있는 하프늄옥사이드(HfO2)에 ‘이온빔’을 이용해 강유전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세계 최초로 구현했다고 13일 밝혔다.

강유전성은 외부 자기장 등에 의해 물체의 일부가 양(+)극이나 음(-)극을 띠게 된 후 그 성질을 유지하게 되는 성질을 말한다.

강유전성이 크면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본구조인 ‘0’과 ‘1’의 차이가 커져 저장된 데이터를 보다 정확하게 읽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강유전성을 지니는 물질을 사용할 경우 나노미터의 매우 얇은 막 상태에서도 우수한 강유전성을 통해 반도체 소자의 집적도를 높일 수 있다는 아이디어가 이미 40여 년 전에 제안됐다.

그러나 최근 새로 도입된 소재인 하프늄옥사이드에서도 강유전성 증대를 위한 후처리과정이 추가로 필요하고, 여러 공정 조건들이 강유전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등 실제 적용에는 공정상 큰 한계점이 있어 실제로 구현되지 못했었다.

이에 연구팀은 후처리과정이나 복잡한 공정최적화 과정 없이 ‘이온빔’이라는 하나의 변수만으로 하프늄옥사이드의 강유전성을 손쉽게 조절하고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다.

강유전성의 발현 정도는 산소 공공(산화물 재료의 결정구조에서 산소 원자가 빠져 비어있는 자리)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왔다. 

연구팀은 이에 착안해 이온빔을 이용한 산소 공공의 정량적 조절을 통해 강유전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고안했다.

연구팀은 이온빔을 적용한 결과 강유전성의 증가 원인이 산소결함 밀도와 연계된 결정구조 변화에서 기인한다는 원리를 밝혀냈으며, 이온빔을 적용하지 않을 때보다 강유전성을 200% 이상 증가시킬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김윤석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강유전성을 활용한 고효율 반도체 소자의 실용화를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현재의 방법론적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실제 반도체 산업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최적 조건 탐색 등 후속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고 말했다.

과기정통부 개인기초연구사업 등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의 성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Science)’에 13일 실렸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충남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