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화재 발생 건수, 전국 평균보다 높고 사망자 두 배 이상 높다” 제하의 본지 기사는 여러 해석을 낳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해석은 그 원인 및 향후 대응방안을 의미한다. 결코 간과해서는 안 될 핵심사안인 것이다.

충남연구원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충청남도의 화재분야 지역 안전지수는 3-4등급 수준(1-5단계로 구분, 1등급일수록 안전)에 그치고 있다. 이를 반영하듯 지난 2020년 기준 주민 1만명 당 화재 발생 건수는 충남이 평균 9.8건으로, 전국 평균 7.5건보다 높은 실정이다.

문제는 최근 5년간 사망자 발생 비율이 30.1%로, 전국 평균 14.4%보다 두 배 이상 높다는 사실이다. 말 그대로 효율적인 인명구조에 차질을 빚고 있는 셈이다.

충남지역 화재 발생은 주거지역 65.7%, 농어촌지역 53.9%, 단독주택 56.4%였고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는 65세 이상 고령자가 52%를 차지한 것으로 조사됐다. 그 원인 및 처방이 주목을 받고 있다.

충남연구원 재난안전연구센터 조성 센터장은 “화재로 인한 인명 피해는 인구 수에 비례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군 단위 지역에서 더욱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모든 도민의 안전한 생활을 위해 지역별 위험수준 진단을 통한 맞춤형 정책 대안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의미심장한 얘기이다. 그의 말대로 “화재 진압을 위한 출동 시간이 8분(골든타임)을 초과하면 사망자 및 재산 피해 발생은 2배 이상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는 지적은 눈여겨볼 대목이다.

이와 관련, 예전에는 도시 지역이 군 단위 지역보다 골든타임 내 도착률이 높았으나 최근에는 도로 혼잡 등 시부의 교통여건이 불리해지고 군부의 개선도가 높아지면서 시부의 도착시간이 길어지고 군부는 단축되는 추세라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실제로 화재 출동 시 교통 정체나 골목 주차 등 장애물 발생이 많은 천안 서북구, 아산시, 서산시, 계룡시 등은 화재 출동에 따른 교통 통제와 골목 주차 단속 및 접근로 확보, 긴급 차량 우선 신호 시스템 도입 등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와 함께 상대적으로 원거리 출동이 불가피한 공주시, 태안군, 금산군 등은 안전센터 위치 조정과 같은 구조적 방법이 병행돼야 할 것이다.

이밖에 타 지역에 비해 출동 도착 시간이 늦고 구조 실적도 낮게 나타나는 청양군, 논산시 등은 출동체계와 동선에 대한 종합적 분석 및 대응 방안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관건은 이 같은 지적에 대한 향후 대안의 시급성에 초점이 모아진다. 우리는 이 시점에서 다시 한 번 유비무환을 떠올린다. 미리미리 대처하면 탈이 없다는 얘기이다. 그것만이 전국 평균보다 사망자가 2배 이상 높은 작금의 불안 요인을 제거하는 지름길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충남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