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향신호기가 횡단보도 앞 점자블록에서 멀리 떨어져 있고 연결돼있지 않아 위치를 찾기가 어렵다. (사진=이연지 기자)
음향신호기가 횡단보도 앞 점자블록에서 멀리 떨어져 있고 연결돼있지 않아 위치를 찾기가 어렵다. (사진=이연지 기자)

[충남일보 이연지 기자] 대전 지역 시각장애인 음향신호기 관리가 부실한 것으로 나타나 개선을 위한 적극 행정이 요구되고 있다.

23일 장애인자립재활센터 ‘시도별 음향신호기 설치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1년 기준 대전 지역은 음향신호기 설치 886곳, 지능형 IoT 음향신호기 설치는 25곳이다. 이 중 전체 음향신호기 설치 비율은 22.7%, 지능형 IoT 음향신호기 설치 비율은 0.62%로 나타났다.

이어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전국 287개소 시각장애인 편의시설 모니터링’ 결과 전국 광역시 중 대전 지역 적정 설치율은 34.3%로 최하위다. 부적정 설치율은 43.1%며 울산(44.1%) 다음 순서로 높았다.

음향신호기는 횡단보도의 신호상태를 음성으로 안내해 시각장애인의 보행활동을 돕는 중요 시설물이지만 설치율과 관리면에서 미흡한 모습이다.

도로교통공단의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기 규격서’상 설치 기준을 보면 교차로의 형태, 지주의 위치 등을 고려해 시각장애인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해야 한다는 규정과 설치 장소 위치가 나와있다.

다만 신호기 설치 시 점자블록을 연결해 시각장애인의 안내를 도와야 한다는 규정이나 지침은 없어 보행에 불편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시각장애인은 보이지 않는 상태에서 버튼의 위치를 파악하는 게 어려워 횡단하는 사람이 많지 않은 경우 차 소리로 신호의 변화를 판단하게 된다.

이에 따른 문제는 임의로 판단하게 되면 빨간불에 횡단보도를 건너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이 같은 상황에 일각에서는 안전을 위해 설치된 음향신호기가 정작 필요시 활용을 못해 무용지물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아울러 시각장애인의 안전한 보행을 보장하기 위해 보행 수요가 많은 곳 중심으로 감독을 강화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대전 장애인시설 관계자는 “시각장애인의 이동 편의를 위해 음향신호기를 포함한 시설들의 관리 체계 시스템을 구축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부실 관리로 2차 피해가 발생하지 않게 예방해야 한다”고 전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충남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