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일보 우명균 기자] 충남 농촌 지역의 저출생, 고령화로 인구 감소가 지속되는 등 마을 소멸 위기를 해결할 정책이 수립돼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농촌지역 주민들만의 노력으로는 역부족인 만큼 외부와의 지속적인 연계 협력이 매우 중요한 시점이라는 게 전문가의 판단이다.

충남연구원 정석호 마을만들기지원센터장은 최근 정책현장 리포트를 통해 “올해 상반기에 서천지역 한계마을 33곳 중 10곳을 시범 대상으로 선정 후 한계마을 정책방향 수립을 위해 마을현황 및 주민 설문 등 현장조사를 실시했다”며 “특히 한계마을의 공동체 활성화 사업 추진을 위해 한계마을 유형별 정책 방향 수립과 일자리 창출을 통한 소멸 위기 대응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 센터장에 따르면 한계마을은 마을인구가 50명 이하이면서 65세 이상 고령화율 50% 이상인 마을을 의미한다. 서천군의 316개 마을 중 약 10%가 한계마을로 나타났다. 이는 충남 시·군 중 한계마을 비율이 매우 높은 편이다.

이에 따라 서천군은 지난 2018년부터 충남연구원과 관련 정책연구를 통해 한계마을에 대한 정책 방향을 마련하고 있다.

최근 조사된 10개 마을의 주민(이장, 노인회장 등 마을별 5명 내외) 설문 결과를 보면 공동체 활동의 한계는 있지만 9개 마을에서 소멸하지 않을 것이라고 응답했다.

또한 마을 전체, 정주 여건 및 경관 등은 만족하는 편이었고 문화생활, 복지, 교통 등 기초 생활 서비스는 불만족스럽다는 의견이 많았다.

정 센터장은 “충남도내 한계마을 실태조사를 통해 ‘재생’, ‘재편’, ‘소멸’ 등의 유형별 정책 방향을 수립하고 지역 출신의 청년 및 활동가 등을 모집해 현장조사와 모니터링을 지속적으로 실시하는 도농 상생 협력 플랫폼 구축 등 다양한 연계 협력 방안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충남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