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사진=연합뉴스]
[글·사진=연합뉴스]

미국 대학을 다니다 중국에서 경력을 시작하고자 2017년 귀국한 베라 저우. 신장웨이우얼(신장 위구르) 출신으로 후이족(回族)인 그는 귀국과 함께 경찰에 체포되는 봉변을 당했다. 갓 시행된 '인터넷 보안법' 때문이었다.

법안은 신장웨이우얼 무슬림에 대한 통제를 골자로 했다. 특히 이 법은 범죄를 저지르지 않아도 신분증에 무슬림으로 적시돼 있으면 소지자를 체포해 '재교육'할 수 있도록 했다. 이 법에 따라 저우는 몇 달간 경찰서 감방에 수감돼 재교육을 받았다. 아울러 얼굴·홍채 ·목소리·혈액·지문·DNA 등 각종 생체정보와 다양한 디지털 정보를 당국에 제공해야만 했다.

이 모든 정보는 중국 정부의 '디지털 인클로저 시스템'에 저장됐다. 이는 경찰이 모니터만 바라봐도 주민의 위치나 온라인 활동 내용 등을 확인할 수 있는 감시 시스템이다. 중국 공안이 소설 '1984'에 나오는 '빅 브러더'처럼, 신장웨이우얼 주민들의 일거수일투족을 감시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대런 바일러 미국 사이먼프레이저대 국제학 조교수가 쓴 '신장 위구르 디스토피아'(원제: IN THE CAMP: CHINA'S HIGH-TECH PENAL COLONY)는 디지털 기술이 인권 탄압에 어떻게 악용될 수 있는지를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책이다.

저자는 정부 문서, 기술산업 문서, 중국 경찰 내부 보고서 등 각종 문서와 위구르족, 후이족 등 중국 내 소수민족 등과의 인터뷰를 통해 '디지털 감옥'으로 변한 신장웨이우얼 지역의 현주소를 고발한다.

저자에 따르면 1990년대 이후 중국은 수출주도 시장경제로 전환하며 한족을 자원 보고인 신장 지역으로 이주시켰다. 그 결과, 지역민이었던 튀르크계 무슬림 위구르족은 점차 외곽으로 밀려났고, 주요 일자리에서도 배제됐다.

이런 엄격한 한족 우대 정책은 지역민의 반발을 불러와 몇몇 소요사태를 낳았다. 시진핑 정부는 이를 테러리즘으로 규정, 2014년 '테러에 맞선 인민 전쟁'을 선포했다. 문제는 중국 정부가 주장하는 소수의 범죄자가 아니라 신장 내 무슬림 전체(약 1500만명)를 대상으로 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주민들은 2017년부터 신장 지역에만 300여 곳에 달하는 수용소에서 이른바 '재교육'을 받아야만 했다. 중국 당국은 '직업 훈련 프로그램'이라고 밝혔지만, 저자는 그곳에서 구타가 횡행했고, 애국가 부르기를 강요받는 등 각종 인권 유린이 자행됐다고 주장한다.

저자는 저우의 사례를 포함해 경찰 보조원으로 일하며 24시간 내내 스크린을 감시해야 했던 카자흐족 청년, 수용소에 중국어 강사로 드나들며 수감자들의 인간성이 말살되는 과정을 지켜본 우즈베크인, 수용소에서 강제 노동을 당한 카자흐인 등의 이야기를 전한다. 아울러 스마트 감시 시스템이 만들어지고 작동하는 과정에서 미국 실리콘밸리와 중국 기업들이 수행한 역할도 조명한다.

저자는 'IBM과 아마존, 구글 등 미국의 거의 모든 빅테크 기업이 중국의 감시기술 개발에 얽혀있다'는 오라클 부사장 켄 글루크의 말을 인용하며 "수감자들이 경험한 비인간화가 적어도 어느 정도는 시애틀에서 베이징을 아우르는 컴퓨터 연구소에서 만들어진 것이라는 불안한 결론에 도달했다"고 말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충남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