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충남도정] 지체되는 충남 국립의대 설립에 촉구 여론 ↑

2024-08-04     이잎새 기자
‘충남지역 의대정원 확대·국립의대 설립 범도민추진위원회’ 출범식. (사진제공=충남도)

[충남일보 이잎새 기자] 대통령 공약이자 충남의 핵심현안인 국립대 의대 설립이 답보 상태를 면치 못하고 있다.

일부 반대 여론에 떠밀려 국립대 의대 설치를 골자로 하는 법안이 지난 21대 국회에서 통과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충남도는 물론 추진위원회와 시민단체 등은 범도민 100만 서명운동에 들어가는 등 의대 설립에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충남도 등에 따르면 국립의대 설립은 대선 당시 윤석열 대통령의 충남 지역 공약으로 발표됐다. 이는 지역 의료환경이 열악한 상태기 때문에 많은 주목을 받았다.

실제 국내 의대 40곳의 입학 정원은 3058명이며 충남 내에는 단국대(천안) 40명과 순천향대 93명 등 사립의대 2곳 133명 정원 외에 국립의대 정원은 없다.

2017-2021년 도내 의대 졸업자 656명 중 취업을 완료한 613명 가운데 도내에 취업한 의사는 197명(32.1%)으로, 70%에 달하는 인원이 타지로 떠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도내 활동 의사 수는 3215명으로, 도민 1000명당 활동 의사 수는 1.51명에 불과하다. 전국 평균 의사 수가 2.2명인데 비하면 매우 열악한 수준이다.

심지어 예산·태안·청양·당진·계룡 등의 일부 지역에서 활동 중인 의사 수는 1명에도 미치지 못한다.

이에 따라 충남도는 국비 약 3257억 원을 투입해 도내 위치한 국립대인 국립공주대학교 예산캠퍼스에 1만 2000㎡, 입학정원 50명, 재학생 300명 규모의 의과대학을 설립하고 충남도청이 소재한 내포신도시 내 의료시설부지 3만 4214㎡에 부속병원을 설치할 계획이었다.

지난해에는 도내 공공의료기관장·보건의료 관련교수 등 182명으로 구성된 ‘충남지역 의대정원 확대‧국립의대 설립 범도민추진위원회’를 공식 출범시키기도 했다.

그러나 정부에서 올해 초 의대정원 2000명 증원에 대한 발표를 하면서 충남권과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포함시키지 않아 사업 추진에 제동이 걸렸다.

의사들이 의대 증원에 대거 반발하며 파업과 집단행동에 들어가 전국적으로 의료 서비스가 급박해지는 파장도 일었다.

충남도가 ‘국립의대 설립 범도민추진위원회’를 중심으로 부족한 의료 기반을 개선하고 우수한 의료 인력을 확보할 수 있는 국립의대를 도내에 신설하기 위한 100만 명 서명운동을 전개한다. (사진제공=충남도)

이에 충남도는 도내 국립의대 설립을 촉구하고자 이달부터 10월까지 ‘국립의대 설립 범도민추진위원회’를 중심으로 100만 명 범도민 서명운동을 전개한다.

서명운동이 종료되면 도는 최종적으로 집계된 서명부를 정부에 전달하며 지역 내 국립의대 설립을 촉구할 예정이다.

충남도 관계자는 “충남 국립의대 신설이 확정될 때까지 결의대회, 정책토론회 등을 지속적으로 개최해 도민 공감대를 형성하고 여론을 조성하려 한다”며 “충남 국립의대가 유치될 수 있도록 서명운동에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홍성‧예산을 지역구로 둔 국민의힘 강승규 의원도 지난달 ‘국립공주대학교 의과대학 설치에 관한 특별법안’을 대표발의하며 힘을 실었다.

국민의힘 강승규 의원(홍성·예산)이 대표발의한 ‘국립공주대학교 의과대학 설치에 관한 특별법안’. (사진제공=강승규 의원실)

지역간 의료이용 격차 해소와 국민의 의료안전을 위해 전문 의료 인력 양성을 확대해 지방의 취약한 응급의료‧필수 의료 서비스 등 공공의료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 제안 이유다.

지역공공의료과정으로 선발된 학생은 의사 면허 취득 후 10년간 충남도 내 공공보건의료기관 또는 공공보건의료업무에 의무적으로 복무하도록 하는 내용도 담겼다.

강승규 의원은 “지방시대의 핵심은 ‘의료 환경’”이라며 “지방에서도 도시와 같은 수준의 의료서비스를 누릴 수 있어야 지역 정주요건이 생긴다는 의미다. 이에 공주대 의대 설립을 통해 지역 필수의료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