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충남도정] 내포신도시 종합병원 건립 차질우려... 특단대책 필요
[충남일보 우명균 기자] 민선 8기 충남도가 주요 사업인 내포신도시 종합병원 건립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사업자인 명지의료재단(재단)측이 최근 의료시설용지 매매대금을 납부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돼 병원 건립에 차질이 우려된다.
이에 따라 충남도측은 매매대금 납부를 6개월 유예해 줬지만 계약 이행이 어려울 경우 특단의 대책 마련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져 향후 추이가 주목된다.
도에 따르면 명지의료재단은 지난 5월 납부하기로 한 의료시설용지 4차 매매대금을 내지 못했다.
지난 2022년 5월 충남개발공사와 명지의료재단이 체결한 계약에는 토지매매 대금 총 355억8500만 원 중 10%를 계약 체결 시 납부하고 3년간 6개월 단위로 6회에 걸쳐 분할 납부하기로 돼 있다.
그러나 최근 의료대란과 관련해 재단은 금융기관의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이 묶이면서 토지매매 대금을 기한내에 납부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재단측 관계자는 “당초 금융기관의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을 통해 만기때 까지 자동 완납하기로 돼 있었다”며 “그러나 최근 의료 대란으로 인해 금융기관이 우리 재단을 포함한 주요 의료기관에 대한 재평가 작업에 들어 가면서 이번에 대금을 납입하지 못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충남도측은 재단의 이 같은 상황을 감안해 최근 4차 매매대금 납부를 11월 까지 6개월 유예해 준 것으로 파악됐다.
내포신도시 종합병원 건립 문제는 최근 충남도의회에서도 주요 이슈로 부각됐다. 이상근(홍성1·국민의힘) 의원은 본회의 도정질문에서 "명지의료재단이 중도금 53억 원을 납부하지 못해 도민들이 종합병원 건립 사업이 무산되는 것이 아니냐고 우려하고 있다"며 김태흠 충남지사의 견해를 물었다.
이에 대해 김 지사는 "최근 의료사태로 인해 모든 병원의 경영 악화가 심각하다"며 "명지의료재단이 앞으로 나아져서 약속대로 갈 것이냐, 확실한 보장을 할 수 없다는 게 제 생각"이라는 입장을 나타냈다.
김 지사는 명지의료재단과의 계약이 지난 민선 7기 때 이뤄진 점을 언급하면서 "5대 메이저 병원이나 적어도 충남대병원이 오는 게 바람직하다는 생각이지만 전임자의 약속을 이행해야 하는 게 후임자"라며 "땅 매입도 어려울 정도의 상황이면 이 문제를 어떻게 할지 다양한 고민을 하고 특단의 다양한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재단측이 용지 매매대금을 유예기간내에 납부할 경우 병원 건립 사업은 정상적으로 추진될 것으로 보이지만 대금을 납부하지 못한다면 내포신도시 종합병원 문제는 새로운 국면을 맞을 것으로 전망된다.
내포신도시 종합병원은 명지의료재단이 2026년 3월 개원을 목표로 2807억4100만 원을 투입해 3만4214㎡의 부지에 건축 연면적 4만1625㎡, 11층 규모로 건립한다. 병상은 급성기와 회복기 506병상, 중환자실 50병상을 설치한다.
진료과는 감염내과, 심장내과, 소화기내과, 소아청소년과, 신경과, 정형외과, 심장혈관흉부외과, 산부인과 등 26개와 심뇌혈관센터와 소화기센터, 유방갑상선센터, 지역응급의료센터, 건강검진센터 등 5개 센터도 마련한다. 인력은 전문의 80명, 간호직 473명, 기타직 378명 등 총 931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