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시리즈] 충남도청 이전 12년 내포신도시 현주소

下= 대책

2024-12-22     우명균 기자
내포신도시 충남도청 전경.(사진 제공=충남도)

[충남일보 우명균 기자] 전국적으로 도청이 이전된 곳은 충남을 비롯해 전남, 경북을 꼽을 수 있다. 충남은 대전에서 홍성·예산의 내포신도시로 이전했고 전남은 광주에서 목포·무안의 남악신도시로 도청을 옮겼다. 경북은 대구에서 안동·예천으로 청사를 이전했다.

전남도청 신청사 전경.(사진 제공= 전남도)

역사가 가장 오래 된 곳은 전남도청으로, 지난 2005년 11월에 개청해 올해 19년 째를 맞고 있다. 현재 인구는 7만 명 정도에 달한다. 청사 이전 당시 1000여 명에 불과했던 남악은 신도시로 자리 잡고 전남 서남부권의 핵심 거점이 되고 있다.

경북도청 신청사 전경.(사진 제공= 경북도)

경북도청은 지난 2016년 3월 북부권 발전을 앞당기고 도내 균형발전을 견인하기 위해 청사를 안동·예천으로 옮겼다. 도청 이전 8년이 넘었고 인구는 3만 명에 못미친다.

특히 경북도는 같은 위도상에 있는 세종시, 내포신도시를 연결하는 국토의 동서 발전축을 형성해 한반도 ‘황금허리’ 창조경제권을 구축한다는 구상을 갖고 있어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충남도청은 오는 28일이면 대전에서 내포신도시로 이전한 지 12년을 맞는다. 민선 5, 6기 안희정 충남지사 시절 이전을 시작해 민선 7기를 거쳐 민선 8기에 이른 지금 내포신도시 발전은 공은 들였지만 여전히 더디다.

그동안 정주 여건이 마련되고 기반이 조성됐는데도 불구하고 현재 인구는 4만 명 정도다. 민선 7기부터 2020년 10만 명을 목표로 내세웠 것에 비하면 목표 대비 40% 정도에 불과하다.

더디기만한 내포신도시 발전을 위해선 인구 유입은 필수적이다. 인구 유입을 유인할 만한 정주 여건 개선과 인프라 확충이 뒷받침돼야 함은 물론이다.

발전에 속도를 내기 위해선 우선 수도권의 공공기관 이전 문제가 관건이다. 공공기관 유치에 따른 파급효과가 막대하기 때문이다. 인구 증가는 물론 정주 여건 확대, 경기 활성화, 인프라 확충 등의 도미노 효과를 가져 올 것임은 명약관화하다.

‘희망고문’으로 끝난 문재인 정부의 전철을 되밟을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지만 충남도와 특히 정치권과의 공동 대응을 통해 추진 동력을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내포신도시 종합병원 건립 문제도 해결해야 할 과제다. 충남도청이 내포로 이전한 뒤 중입자 암치료센터와 명지의료재단까지 두 차례에 걸쳐 종합병원 건립이 무산됐다. 이에 따라 충남도는 직접 투자해 1단계로 소아 진료 중심 특화병원을 건립·운영하고 2단계로 중증전문진료센터를 건립한다는 계획을 세워 놓고 있다.

김태흠 충남지사는 최근 위탁 운영을 위해 서울의 대학병원측과 접촉중인 것으로 알려져 결과가 주목된다. 종합병원 건립은 비단 인구 유입 이상의 의미로 내포신도시 뿐만 아니라 보령, 서천, 청양, 인근 전북의 의료 수요까지 감안하면 시급을 요하는 현안이다.

또한 내포 첨단산업단지 기업 유치를 비롯해 충남대 내포캠퍼스, 카이스트 영재학교, KBS충남방송국 설립, 홍예공원 명품화 사업 등도 내포신도시 발전을 위해 속도를 내야 한다는 데 이론의 여지가 없다.

내포신도시가 명실공히 충남의 수부도시이자 '행정타운'으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이들 핵심 사업들에 대한 행정력은 물론 정치력이 담보돼야 함은 불문가지(不問可知)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