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정보] 사교육, 성적별로 이용률 달랐다… 1등급 76.4%, 6등급 이하 49.6%
수도권 71.3% vs 비수도권 60.2%
[충남일보 윤근호 기자] 수시 준비 과정에서 사교육의 영향력이 컸다. 진학사가 올해 수시모집에 지원한 전국 수험생 1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전체의 65.6%가 사교육(학원·컨설팅 등)을 활용했다고 답했다.
특히 수도권 학생은 71.3%, 비수도권은 60.2%로 지역별 격차가 확인됐으며 상위권일수록 사교육 의존도가 더 높아지는 성적별 격차도 뚜렷하게 나타났다.
▲ 전체의 65.6% ‘사교육 활용’… 수도권과 비수도권 격차도
응답자의 65.6%가 수시 준비 과정에서 사교육을 이용했다고 답했으며, ‘일부 활용’이 48.1%, ‘적극 활용’이 17.5%로 조사됐다. 이는 절반 이상의 학생이 공교육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고 느끼고 사교육의 도움을 받고 있음을 의미한다.
사교육을 통해 가장 많은 도움을 받은 부분(복수 응답)은 ‘성적 향상(내신·수능)’으로 70.2%, 그 뒤를 이어 ‘대학·전형 정보 제공(26.2%)’, ‘비교과 활동 관리(15.4%)’, ‘면접 대비(12.3%)’ 순으로 나타났다. 즉 사교육이 단순한 성적 보완을 넘어 학생부 관리와 대학별 고사 준비 등 수시 준비의 전 과정에 깊숙이 관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지역별 차이도 뚜렷했다. 수도권 학생의 사교육 참여율은 71.3%로, 비수도권(60.2%)보다 11.1%p 높았다. 특히 ‘적극 활용’ 응답은 수도권 21.7%, 비수도권 13.5%로 약 1.6배 차이를 보였다. 이는 수도권에 집중된 학원가, 입시 프로그램, 정보 접근성 차이가 반영된 결과로 분석된다.
▲ 상위권일수록 더 많이, 더 적극적으로
내신 성적이 높을수록 사교육 참여율이 높은 경향이 나타났다. 1등급대 학생의 76.4%, 2등급대 75.1%가 사교육을 활용했으며, 6등급 이하에서는 절반 수준(49.6%)에 그쳤다. 이러한 결과는 상위권 학생들이 내신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고, 맞춤형 전략 수립과 심화 학습을 위해 사교육을 ‘필수 도구’로 인식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반면 중하위권으로 갈수록 사교육의 필요성을 덜 느끼거나 경제적 부담 등으로 인해 참여율이 낮아지는 현상을 보여준다.
또 수도권 1등급 학생 중 30.1%가 사교육을 적극 활용, 비수도권 1등급(13.8%)의 두 배를 넘는 등 성적대별 현황에서도 지역 간 격차가 드러났다.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 우연철 소장은 “상위권 학생일수록 경쟁 우위를 확보하고, 개별 맞춤형 전략을 세우기 위해 사교육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이는 단순한 학습 도구로서의 사교육이 아니라 입시 전략 격차의 문제”라며 “이 격차가 누적되면 성적뿐 아니라 정보·기회 불평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진학사가 전국 수험생 1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2026학년도 수시지원 인사이트 리포트’를 발간했다. 이번 리포트는 수시 지원 전략, 지원 기준, AI 활용, 지역·성적별 격차 등 올해 수시의 주요 특징을 분석한 내용이 담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