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학연-중의과학원, 전통의학 국제 심포지엄 공동 진행

양 기관 국제 공동연구 추진 동향 발표 및 향후 협력 방안 모색 피부건강, 수면장애, 약재 유전자원 주제로 전문가 발표

2025-11-06     김현수 기자
한중 국제심포지엄에서 이진용 원장이 인사말을 전하고 있다. (사진제공=한의학연)

[충남일보 김현수 기자] 한국한의학연구원은 6일 북경 중국중의과학원 대회의실에서 ‘2025 한‧중 전통의학 국제 심포지엄’을 공동 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중국중의과학원 개원 70주년을 기념해 개최됐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15번째로 한국한의학연구원과 중국중의과학원이 올해 새롭게 착수한 3건의 국제 공동연구 추진 현황을 공유하고, 향후 협력 강화를 위한 심도 있는 발표와 토론이 진행됐다.

먼저 양 기관장을 비롯한 주요 인사의 개회사 및 축사와 함께 양 기관 협력의 발자취를 담은 영상 상영이 진행됐으며 이어 ‘약재 유전자원’, ‘피부건강’, ‘수면장애’ 순으로 전문가 발표가 진행됐다.

한중 국제심포지엄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제공=한의학연)

‘균류 약재 유전 자원’을 주제로 한 첫 번째 세션에서는 중국중의과학원 의학실험 센터 웬웬 연구원이 ‘균류 자원의 발굴 및 이용’을,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약융합연구부 김태수 책임연구원이‘한약 소재를 활용한 화장품 신소재 발굴 연구’를 주제로 발표했다.

두 번째 세션에서 ‘피부 건강 약물 개발’을 주제로 중국중의 과학원 의학실험센터 왕이 연구원이 ‘다중 모드 광학영상 기반 여드름 중증도 평가모델 구축 및 중약 치료 효과 검증 연구’를,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약융합연구부 채성욱 책임연구원이 ‘담즙산 포함 스테로이드 유도체 기반의 여드름 조절 소재 개발’을 주제로 설명했다.

한중 국제심포지엄 현장 전경. (사진제공=한의학연)

마지막 ‘수면 건강 관리’ 세션에서는 중국중의과학원 침구연구소 저우위 주임의사가 ‘한중 불면증 임상진료지침 비교 및 향후 협력 연구 계획’을,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약데이터부 박지은 책임연구원이 ‘수면장애에 대한 전통의약의 임상 적용 및 가이드라인’에 대해 발표했다.

발표 후 각 세션에서는 패널 토론이 이어졌으며 지속적인 공동연구 강화를 위한 협력방안을 모색하고 세계인의 건강을 위한 전통의학의 역할과 발전 방향에 대해 함께 논의했다.

한국한의학연구원 CI.

한국한의학연구원 이진용 원장은 “이번 심포지엄은 올해 양 기관이 새롭게 시작한 국제 공동연구의 현황을 공유하고, 향후 도출될 우수 성과에 대한 기대를 나눈 뜻깊은 자리였다”며 “이번 심포지엄에서 나눈 깊이 있는 논의가 양 기관 공동연구를 강화하고 나아가 인류 건강에 이바지할 수 있는 성과 창출로 이어지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