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 10명 중 8명, 국립대병원 ‘교육부→복지부 이관’ 반대
충남대병원 등 9개 병원 설문서 반대 79.9% 교육·연구 위축과 필수의료 공백 지적 국립대병원협회 “필수의료 체계 정밀 설계·합의 필요”
[충남일보 윤근호 기자] 정부가 국정과제의 일환으로 9개 국립대병원의 교육부에서 복지부로의 부처 이관을 추진 중인 가운데, 소속 교수 대부분이 이관에 반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전국 9개 국립대병원(강원대병원·경북대병원·경상대병원·부산대병원·전남대병원·전북대병원·제주대병원·충남대병원·충북대병원) 협의체인 ‘국립대병원협회 지역필수의료강화 TF’는 입장문을 내고 “교육부에서 복지부로의 이관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협회가 국립대병원 교수들을 대상으로 부처 이관에 대해 여론조사전문기관 엠브레인퍼블릭에 의뢰해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전체의 79.9%가 반대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찬성은 20.1%에 그쳤다.
이번 조사는 지난 4일부터 6일까지 교수 1063명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이는 지난 9월에 실시된 제1차 설문조사 때 반대 응답률 73%에 비해 반대 응답자가 약 7%p 늘어난 수치다.
교수들은 ‘교육·연구 역량의 위축 우려’, ‘지역 필수 공공의료 강화를 위한 실효성 있는 중장기 종합계획과 로드맵의 부재’ 등을 주요 반대 이유로 꼽고 있었다.
특히 다수 교수들이 필요충분한 논의와 합의 없는 ‘연내 선 이관 후 논의’에 반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복지부·교육부·국립대병원이 참여한 ‘지역필수의료강화협의체’ 공동 의장을 맡고 있는 조강희 충남대병원장은 “부처 이관은 9개 국립대병원과 4만명 임직원이 소속을 바꾸는 큰 공사(公事)인데, 국정과제 확정 3개월 안에 속전속결식으로 하겠다는 것을 이해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이어 “필수의료는 특히 고도의 전문성과 시급성, 중대성을 요하는 분야로서 정밀한 설계와 빈틈없이 작동하는 의료 서비스 시스템 구축 등이 매우 중요하기에 주도면밀한 기획과 점검, 정부와 병원 간 소통과 협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