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시내버스 사고 대응 실효성 부족…재발 방지 구조 구축해야"
[충남일보 이연지 기자] 대전시의회 김선광 의원이 시내버스 사고 대응의 실효성 부족과 어린이 무임교통 정책 지연 문제를 지적하고 나섰다.
김 의원은 12일 열린 제291회 제2차 정례회 산업건설위원회 교통국 행정사무감사에서 "시 전체 교통사고는 감소 추세라지만, 시민 일상과 맞닿은 시내버스 차대차 사고는 114건에서 144건으로 늘었다"며 "원인을 어르신 이동 증가로 설명하는 건 실제 사고 통계와 맞지 않는다"고 질타했다.
버스 후면 조명 시범 사업과 관련해서도 "시내버스 14개 업체 중 2곳, 특히 차량 대수가 가장 많은 업체가 참여하지 않았다"며 "사고 예방 대책이 정작 위험 지점을 비껴가고 있다"고 꼬집었다.
또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선포식 자체를 부정하는 게 아니라, 사고 감소의 해법은 구호가 아닌 운전자 안전 교육과 재발 방지 구조 개선에 방점을 둬야 한다"고 강조했다.
어린이 무임교통 예산 미편성 문제도 지적했다.
그는 "관련 조례 제정과 더불어 사회보장협의까지 완료됐고 소요 예산도 7억 원 수준인데, 어르신 무임교통 216억 원은 편성하면서 어린이 정책은 계속 미뤄지고 있다"고 질책했다.
그러면서 "부산은 연구로 효과를 입증했고, 광주·제주·충남도 시행 중이나 대전만 뒤처져 있다는 체감이 크다"며 "어린이 무상교통은 이동 지원사업이 아니라 미래 이용 습관을 만드는 교통 정책"이라고 덧붙였다.
끝으로 "버스 안전은 선언이 아닌 구조로 바뀌어야 하고, 어린이 이동권 정책은 검토가 아닌 실행 단계로 전환돼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