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상의, '제254차 대전경제포럼 조찬세미나' 개최
글로벌 경기변수 점검, 내수 부진 진단 등 진행 공급망 변화 대응·환율 리스크 관리 필요성 강조
[충남일보 이승우 기자] 대전상공회의소가 조찬포럼을 열고 2026년 경제전망과 기업의 대응 전략을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이번 세미나는 13일 호텔 ICC 크리스탈볼룸에서 대전상의 정태희 회장을 비롯해 이장우 대전시장, 조원휘 대전시의회 의장, 김세용 하나은행 대전영업본부 지역대표, 최창우 대전일자리진흥원 원장 등 초청회원과 유관기관·단체장, 기업 임직원 등 2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본 행사에 앞서 기관발표를 맡은 대전사회복지공동모금회(사랑의열매)는 주요 기부 프로그램과 관리 체계를 소개하며 연말 ‘희망2026 나눔’에 대한 지역 기업의 참여를 요청했다.
정태희 회장은 개회사에서 “환율 상승과 내수 부진 등 어려운 경영환경 속에서도 금일 포럼에 함께해주신 기업인 여러분께 감사드린다”며 “기업인의 도전과 연대가 지역 곳곳으로 확산되어 대전경제의 새로운 활력을 만드는 ‘대전 붐업’으로 이어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오는 12월 23일 개최되는 ‘기업인의 날’은 한 해 동안 수고하고 애써주신 기업인들을 위해 마련한 감사하고 격려하는 자리인 만큼,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덧붙였다.
본 강의에서는 허준영 서강대학교 경제학부 교수가 ‘2026년 경제전망과 기업의 대응’을 주제로 특강을 진행했다.
허 교수는 미국·유럽·중국 등 주요국 경제 흐름을 짚으며 미국은 AI 투자와 정부지출로 단기 성장세가 견조하나 관세 영향 확대와 정부부채 증가 같은 위험요인이 상존한다고 분석했다.
유럽은 제조업 부진으로 독일·프랑스 중심의 성장 약세가 나타나고 있으며 중국은 관세 인상 영향으로 성장 둔화가 관측됐으나 최근 확대재정정책으로 완만한 회복 흐름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경제와 관련해서는 내수 부진을 핵심 위험요인으로 지목했다.
수출과 내수 간 경기 격차 확대, 가계부채·고물가·금리 인하 지연 등으로 소비 여력이 제약되고 있으며 소득·자산 불평등 심화와 주거·의식주 비용 부담 같은 구조적 요인이 회복을 어렵게 만든다고 진단했다.
허 교수는 기업 대응 전략으로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맞춘 시장·생산 구조의 유연한 조정과 환율·유가 변동 리스크 관리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과거의 ‘안미경중(안보는 미국, 경제는 중국)’ 접근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