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대한민국 우주산업 경쟁력 강화 전략기지 위상 강화 '속도'

국회서 우주항공청 연구개발본부 설치·우주 연구개발 활성화 정책 토론회 황정아·이주희·박범계·조승래·장철민·박용갑·박정현·장종태 의원과 공동주최

2025-11-14     심영운 기자
우주항공청 연구개발본부 설치와 우주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정책 토론회가 14일 국회 제9간담회의실에서 열렸다.(사진제공=대전시)

[충남일보 심영운 기자] 대전시가 우주산업 클러스터 연구개발 특화지구 위상을 굳히고, 대한민국 우주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기지 도약을 위해 본격 나섰다.

시는 1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황정아·이주희 의원, 박범계·조승래·장철민·박용갑·박정현·장종태 의원과 공동으로 우주항공청 연구개발본부 설치와 우주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정책 토론회를 가졌다고 밝혔다.

시에 따르면 우주청 연구개발본부는 우주항공기술 연구개발 관련 사업을 담당하는 조직으로, 우주청과 연구기관간 업무적 효율을 높이고 연구개발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설치가 필요하다는 현장 연구자들의 목소리를 반영해 지난해 9월 황정아 의원이 설치를 위한 우주항공청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 발의했으며 상임위원회 심사가 진행 중이다. 

국회 제9간담회의실에서 열린 이날 토론회엔 황 의원과 이 의원을 비롯해 우주청, 우주항공 연구기관, 대학, 산업체 관계자 등 60여 명이 참석했다. 좌장은 허환일 충남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가 맡았으며 양준석 대전연구원 책임연구원이 '우주항공청의 연구개발 기능 제고를 위한 입지 제안'을 주제로 발제를 맡았다. 

이어 진행된 토론에선 사공영보 솔탑 대표(대전뉴스페이스발전협의회장), 윤효상 카이스트 항공우주공학과 교수, 신의섭 전북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 이문식 전자통신연구원 위성통신연구본부장, 이재형 우주청 기획조정관, 장길수 대전과학산업진흥원 전략기획부장 등이 참여해  고도화된 우주개발 전략 기획과 연구개발 수행의 체계적인 관리, 다부처·다기관 사업의 효율적 조정 등을 위한 연구개발본부 신설 필요성과 정책 거버넌스 재정립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또 최첨단 기술의 집약체인 우주항공기술은 융합연구가 필수며 국력을 가늠하는 전략 자산으로, 지난 50년간 국가 역량을 결집해 구축해 놓은 대덕특구를 중심으로 우주항공기술 개발 역량도 높여야 한다는 공감대를 형성하고 우주항공산업진흥원 유치 등 산업 생태계 확장을 위한 방향도 모색했다.

황 의원은 개회사에서 “대한민국 우주개발 역량을 높이는 핵심은 사람과 그들이 협력하는 생태계며, 대전이 바로 그곳”이라면서 “토론회를 통해 연구개발본부 설치 필요성에 대한 이해와 공감대가 확산돼 정부 정책에 반영되도록 지속 노력하고, 우주항공산업진흥원 대전 유치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유득원 행정부시장은 “대전은 세계적 수준의 연구개발 인프라와 전문인력, 첨단기술 중심의 산업 생태계가 갖춰진 도시로 새로운 혁신체계를 통해 대전이 우주항공산업 성장엔진이자 전략거점이 되도록 국회, 정부, 지역의 산·학·연과 지속 협력하며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