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층 겨냥한 ‘클럽마약’ 급확산… 적발량 7.3배 증가

5년 전 15.8kg에서 115.9kg으로 증가 청년층 중심으로 수요 확산 우려

2025-11-18     윤근호 기자
지난 7월 충남 아산서 적발된 마약사범 관련 압수품. (사진=본사DB)

[충남일보 윤근호 기자] 도심 유흥가와 파티 문화를 중심으로 청년층 사이에서 ‘클럽마약’ 유통이 빠르게 확산하는 가운데, 최근 5년간 밀반입 적발량이 약 7.3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클럽마약이란 클럽·파티·유흥업소 등에서 주로 소비되는 마약류이며 엑스터시, 케타민, LSD 등이 포함된다. 최근에는 충북 옥천 펜션의 마약 파티 현장과, 충남 아산 호텔 인근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이 유통된 사례가 잇따랐다.

18일 관세청에 따르면 클럽마약 전체 적발건수는 2021년 215건에서 올해 9월 기준 116건으로 감소했다. 다만 적발량은 같은 기간 15.8kg에서 115.9kg으로 증가해 중량 기준으로 7.3배 증가했다.

이는 약 232만명이 동시 투약할 수 있는 양으로, 특히 올해 1월부터 9월까지의 적발량(115.9kg)이 지난 한 해 적발량(79.9kg)을 초과하기도 했다.

마약 종류 중 밀반입 증가세가 가장 두드러진 것은 ‘케타민’인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1kg 이상 대형 케타민 밀수 적발건수가 급증했는데, 적발량은 2021년 5.9kg에서 2025년 101.9kg으로 17.3배 증가했다. 주요 반입경로는 특송화물(51.4kg), 여행자 수하물(41.8kg), 국제우편(8.0kg) 순이다.

주요 발송국은 유럽 국가들로 밝혀졌다. 프랑스(57.1kg), 영국(11.8kg), 독일(10.8kg) 등의 국제마약조직이 새로운 시장 개척을 위해 우리나라로 케타민 밀반입을 시도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관세청은 이같은 클럽마약 밀수 증가가 청년층 기반 수요 확산과 연계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고 공급망 차단에 집중하기로 했다. 우범여행자·특송화물·국제우편 등을 대상으로 집중 검사를 실시하고, 밀리미터파 검색기, 라만분광기, 이온스캐너 등 첨단 마약탐지장비를 추가 도입할 예정이다.

아울러 유럽 및 동남아 주요 마약 발송국과의 공조체계를 강화하는 동시에 청소년층 대상 마약 오남용 예방 교육 및 온라인 캠페인을 통한 홍보활동도 실시한다는 계획이다.

이명구 관세청장은 “클럽마약 밀반입은 우리 미래를 책임질 청년층을 표적으로 하는 심각한 범죄”라며 “통관단계 집중 검사, 해외 관세당국과의 국제공조 강화 등 모든 역량을 투입해 국경 단계에서의 마약 밀반입을 원천 차단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