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글로벌 에어버스 대전 '테크 허브’ 선택 왜?
세계 최대 글로벌 방산·항공기업 에어버스가 대전에 핵심 연구 공간인 '테크 허브’를 조성한다는 소식이다. 지난 18일 호텔 오노마에서 연구개발 혁신거점을 골자로 체결한 업무협약이 바로 그것이다.
이번 협약은 에어버스가 싱가포르, 네덜란드, 일본에 이어 전 세계 네 번째 테크 허브를 대전에 설치하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른바 아시아 기술혁신 거점을 한국으로 확장하면서 대전을 글로벌 연구개발 중심지로 선택한 셈이다. 에어버스 테크 허브는 전 세계 주요 국가에 마련된 연구개발 플랫폼이다. 미래 항공기 기술, 첨단 통신 솔루션 등 핵심 기술 역량을 활용해 프로젝트를 출시하는 역할을 맡는다.
대전에 설치되는 테크 허브는 에어버스의 글로벌 R&D 생태계의 한 축으로 산·학·연 협력체계를 기반으로 공동연구, 기술혁신 등을 앞당기는 계기가 될 것이다. 특히 대학, 특구 연구기관·혁신 기업들과의 연계를 통한 실질적인 기술 교류와 시너지 창출은 눈여겨볼 대목이다.
실제로 에어버스가 대전을 선택한 것은 핵심 관심 분야와 맞닿아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50여 년간 축적된 세계적 연구역량과 KAIST·ETRI 등 글로벌 수준의 인프라, 국방·우주항공·반도체·양자·로봇 등 첨단산업의 중심지 대전의 역할이 주목받는 이유이다.
최성아 정무경제과학부시장은 “에어버스 테크 허브의 대전 설치는 대전이 국가 연구개발의 글로벌 허브로 성장할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지역기업들이 에어버스와 함께 국제 공동연구에 참여하고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그의 말대로 아시아 핵심 기술혁신 거점으로 도약하있는 한국 그중에서도 대전은 카이스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 국내 최고 연구 인프라와 대덕 특구를 갖춘 국가 지식·기술 집적지일뿐 아니라, 국방·우주 항공·반도체·로봇 등 첨단 전략산업 집중육성 정책의 중심지로 평가받고 있다. 다시 말해 대한민국 대전이 세계적 연구개발(R&D) 네트워크에서 전략적으로 중요하다는 방증이다.
테크 허브는 미래 항공기 기술, 첨단통신 솔루션, 에너지 시스템개발 등 에어버스의 글로벌 R&D 생태계에서 중추 역할을 전담하는 핵심 원동력이다. 그에 따른 전문기술 일자리 창출과 국제적 기술협력 확대, 경제적 부가가치는 하나둘이 아니다.
과학도시 대전의 위상 또한 더욱 강화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에어버스 대전 테크 허브 설립은 한국이 글로벌 첨단 기술 혁신에서 핵심적 위치에 있음을 보여주는 시발점이다. 향후 관건은 이를 통해 대전이 재차 도약할 수 있는 글로벌 선도적 위치를 더욱 다지는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