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냥개비 탑 형상의 3차원 수소 촉매 및 성능 (사진제공=카이스트)
성냥개비 탑 형상의 3차원 수소 촉매 및 성능 (사진제공=카이스트)

[충남일보 김지은 기자] 카이스트(KAIST)는 정연식 교수와 김진영 박사 공동연구팀이 수소생산에 사용되고 있는 촉매의 효율을 20배 이상 높인 신개념 3차원 나노촉매 소재 기술개발에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

8일 카이스트에 따르면 연구팀은 전기분해 장치의 양극에 사용되는 고가의 이리듐(Ir) 촉매 사용량을 획기적으로 감축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3차원 촉매소재 기술을 개발했다.

이리듐 촉매는 금 수준으로 매우 고가여서 고분자 전해질막 수전해 장치 상용화를 위해 사용량 감축과 효율을 대폭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이에 연구팀은 3차원 프린팅과 유사한 원리인 초미세 전사프린팅 적층 기술을 활용해 `성냥개비 탑(Woodpile)' 형상의 3차원 이리듐 촉매 구조를 인쇄 방식으로 제작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무작위적 형상과 배열을 가지는 기존 상용 이리듐 나노입자 촉매와 달리 3차원 촉매는 규칙적 구조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촉매 표면에서 생성된 가스 버블(bubble)이 효율적으로 잘 빠져나오는 특징을 갖는다. 공동 연구팀 관계자는 결과적으로 3차원 촉매의 경우 높은 활성도를 유지한다고 설명했다.

성냥개비 탑 형상의 3차원 촉매를 사용하게 되면 훨씬 더 적은 양의 이리듐을 사용하고도 전기분해 장치의 성능을 더 높게 구현할 수 있는데, 이리듐 질량 당 촉매 효율로 환산하면 20배 이상의 높은 효율을 보일 정도의 획기적인 기술로 전문가들은 평가하고 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 지난 1일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논문명: Highly efficient oxygen evolution reaction via facile bubble transport realized by three-dimensionally stack-printed catalysts)

논문의 제1 저자인 김진영 박사는 "이번 연구결과를 활용할 경우 귀금속 촉매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동시에 성능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업적 경쟁력 확보가 가능한 친환경 수소생산이 가능하다ˮ고 전망했다.

KAIST 정연식 교수는 특히 “연구팀이 개발한 3차원 적층 프린팅 방식의 촉매 생산기술은 복잡한 화학적 합성에 주로 의존하던 기존 기술의 패러다임을 뒤집은 것”이라며, “향후 이산화탄소 전환, 배기가스 감축 등 다양한 분야에 상업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ˮ이라고 기대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충남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