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문화재단 홈페이지 캡처.
대전문화재단 홈페이지 캡처.

[충남일보 정서윤 기자] 대전문화재단이 ‘예술인 재난지원 기초창작활동비 지원사업’ 현금 지급을 고집하고 있어 지역경제 활성화에 아랑곳하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특히 대전시의회가 최근 소상공인들 재기와 침체된 경기를 회복시킬 수 있도록 온통대전 활성화를 통해 적극 행정을 펼쳐야 한다고 지적했음에도 재단은 현금 편리성만을 내세우며 강행 의지를 불태우고 있다.

이성은 대전문화재단 본부장직무대리는 지난 28일 세종시와 인천시, 부산시, 광양시 등이 지원금을 지역화폐로 지급, 지역 상생을 도모한다(본보 1월29일자 1면)는 보도와 관련 “이번 지원금은 긴급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라며 현금 지급을 고수했다.

또 그는 “신청이 들어오는 대로 지체하지 않고 현금을 빠르게 지원하기 위해 지역화폐 지급은 추진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긴급하게 지원해야 하기 때문에 현금 지급을 해야 한다’는 주장은 설득력이 없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우리나라 전 국민은 지난해 초 재난지원금을 카드로 수령 했으며, 이후 대전시민의 대부분은 재난지원금 카드를 온통대전 사용 카드로 전환했거나, 새로 ‘온통대전’ 카드를 발급받았다.

대전시민의 온통대전 보급률은 상당하다고 봐야 한다. 지난해 12월31일 기준 온통대전 카드 발급은 72만매가 넘었다. 또 온통대전 앱 가입자 수도 48만명을 훌쩍 넘었으며, 이는 대전 성인 인구 중 40%가 넘는 수치다. 이 같은 통계를 봤을 때 대전시민 중 웬만한 성인은 1장씩 소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대전시가 지난해 10월 여론조사 기관을 통해 진행한 온통대전 시민 만족도 조사에서 62%가 넘는 시민이 온통대전을 사용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러한 상황을 두고 일각에서는 온통대전이 출시된 후 9000억의 발행액을 달성함과 동시에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음에도 대전문화재단의 외면 이유는 더욱 이해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또 온통대전 카드는 신청 후 2~3일이면 집에서 받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예술인 재난지원 기초창작활동비 긴급지원은 ‘온통대전’을 통해서도 신속하게 가능하다는 이야기다.

특히 대전시는 지역화폐인 ‘온통대전’을 사용할 시 월 100만원 한도 내에서 10%~5%의 캐시백을 해주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현금보다는 지역화폐 지급이 경제적 이득이라는 주장이 더 설득력이 있다.

온통대전이 지역 소상공인에게 도움이 된다는 점까지 고려하면 이번 예술인 긴급지원금은 ‘지역화폐’로 해야 한다는 것은 자명하다.

아울러 대전지역 일부 공공기관은 성과급 등을 ‘온통대전’으로 수령해 지역경제도 돕고, 캐시백도 얻는 일석이조 효과를 보기로 결의하기도 했다.

그 예로 지난해 11월 대전시설관리공단은 2020년 평가급 일부를 대전 지역사랑상품권인 온통대전으로 지급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대전시의회 5분 자유발언에서 온통대전 활성화 대책을 언급한 박혜련 의원은 “지역화폐를 통한 지원금 지급 방안을 이번 본회의에서 건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온통대전에 대해 이성은 대전문화재단 본부장은 최근 본 기자와의 통화에서 “예술인에게 지원되는 총 25억원의 배정 금액은 사전에 계획되지 않는 금액이다. 온통대전 캐시백은 예산 소진 시까지 지급되는데, 이렇게 할 경우 기존 일반 시민들에 대해 일종의 선의의 피해자가 생길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충남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