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사진=연합뉴스]
 [글·사진=연합뉴스]

미국 릿거대에서 교편을 잡고 있는 인구·도시계획 전문가 앨런 말라흐가 쓴 '축소되는 세계'(원제: Smaller Cities in a Shrinking World)는 성장의 시대가 끝났음을 알리는 책이다. 저자는 경제도, 인구도 줄어드는 '축소의 시대'가 올 것이라고 단언하면서 "한 번 인구가 감소한 나라는 다시 그 수준을 회복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한다. 한국이나 일본, 대만처럼 지금 인구가 감소하는 국가는 앞으로도 계속 줄어들 것이라는 얘기다.

책에 따르면 인구통계학적 추세는 경제와 사회 현상에 뿌리를 두고 있다. 이에 따라 이른바 유럽과 일본 등에서 진행 중인 '출산 장려 정책'은 이런 추세를 기껏해야 약간 늦추는 것 이상의 역할을 할 가능성이 "극도로" 낮다. 예컨대 프랑스는 가족수당, 세금혜택, 보조금 지급, 유급 육아휴직(3년) 등 적극적인 출산 장려 정책을 시행하고 있지만 비용 대비 효과가 좋지 않다. 합계출산율(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녀 수)이 대체출산율(2.1명·현재 인구 규모를 장기적으로 유지하는 데 필요한 수준)을 밑돌고 있기 때문이다. 프랑스가 출산 장려 정책에 투입하는 예산은 국내총생산(GDP)의 4% 수준이다. 이는 막대한 재정 손실로 이어지고 있다.

현재 추세대로라면 일본은 2040년 지방자치단체 절반이 소멸한다. 2018년 기준 집 7채 중 1채가 빈집인데, 2040년에는 3채 중 1채꼴로 빈집이 늘어난다. 중국은 2100년 인구가 절반으로 준다. 우리나라는 2020년부터 총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했다. 태국, 대만, 이탈리아, 레바논, 쿠바 등도 이런 길을 뒤따를 것으로 관측된다.

이 과정에서 지방과 수도권의 양극화가 심화할 것이라고 저자는 예상한다. 일자리와 돈을 찾아 수도권으로 인구가 유입되지만, 지방 도시는 소멸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가령, 불가리아의 수도 소피아는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데 부(富)가 성장의 동인이다. 소피아 지역의 GDP는 두 번째로 부유한 지역보다 2배 많고, 가장 가난한 지역보단 4배 많다.

경제 성장 둔화도 피할 수 없다. 인구 노령화와 생산 가능 인구 감소로 생산 위축, 디플레이션, 자본·교역 감소가 예상된다. 더불어 인구보다 빠르게 감소하는 세수, 고령 인구 부양을 위한 재원 부족 등으로 자본주의 기반이 흔들릴 가능성이 높다. 저자는 2050년 무렵이면 세계 경제 성장이 마이너스로 돌아설 것이라고 예상한다.

그는 앞으로 수십 년간 '축소 도시'는 늘어나고 '성장 도시'는 줄어들 것이라며 "이제 축소 도시가 표준이 되면서 2100년이 되면 전 세계 대다수 도시가 축소 도시가 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이어 "점점 작아지는 국가나 도시가 성장 실패의 상징이 아니라 합리적인 미래 경로라는 생각부터 받아들여 한다"며 "이런 변화가 어떤 결과로 이어질지는 결국 우리에게 달렸다"고 곁들인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충남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