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원자력시설 상설 환경감시센터(이하 감시센터)개소를 둘러싸고 설왕설래가 일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설왕설래의 핵심 사안은 2가지로 요약된다.

하나는 전국 처음으로 문을 열어 그 어느 때 보다도 상징적인 의미가 크다는 사실이다. 또 하나는 그 상징성 못지않게 원자력 방사능에 대한 현지 시민들의 불안감을 제대로 해소할 수 있을지 의문이 일고 있다는 점이다. 이른바 기대와 우려가 공존하고 있는 셈이다.

이는 원자력 안전에 대한 시민중심의 새로운 협치 시스템 본격 가동을 의미한다. 실제로 대전원자력 안전 시민참여위원회는 9일 대전 유성구 덕진동 국제원자력교육센터에서 감시센터 개소식을 갖고 본격적인 활동을 알렸다. 그 이면에는 시민들의 방사능 오염에 대한 불안감 해소 기대와 향후 과제를 동시에 부여하고 있다.

하지만 여기에는 선결 요건를 전제로 하고 있다. 이른바 기존 정부지원전무에 대한 개선방안이 바로 그것이다. 예컨대 감시센터 구성원들의 전문성 확보 및 부대시설·장비 확보 등은 빼놓을 수 없는 핵심 사안이다.

정부의 다각적인 지원 등 후속조치가 시급한 이유이다. 현재 대전시가 밝힌 감시센터 구성원은 센터장 1명과 분석원 2명 등 3명으로 이뤄졌다. 이들 중 센터장은 환경 관련 사단법인 등에서 근무한 경력이 있고, 분석원들은 각각 대덕연구단지 내 모 정부출연연구원에서 방사성핵종분석 및 알파핵종분석 등 관련 업무를 담당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이들의 전문성을 바라보는 원전 전문가들의 시각이 사뭇 냉철하다는 본지기사는 눈여겨볼 대목이다. 이 분야는 누가 오든 반드시 연수과정을 거쳐야 할 만큼 전문성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곧바로 투입돼 감시 활동을 진행하기에는 시간이 필요하다는 얘기이다. 의미심장한 지적이 아닐 수 없다.

여기에 기본적인 실험실과 측정 장비조차 갖추지 못하고 있어 빠른 대응이 어려운 상황이다. 그 이면에는 턱없이 부족한 예산이 주된 이유이다. 원자력연구원 연구과제 수행비는 2억8000만원에 불과해 적게는 수천만원에서 많게는 수억원에 달하는 측정 장비 구비는 엄두도 내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 대안으로 측정 장비를 갖춘 타 지역 연구실과 장비를 공유하거나, 인근 대학교 실험실에 용역을 주는 것으로 대체할 수 있지만 시일을 다투는 중대사안일 경우 그 효율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그렇다면 결론은 간단명료하다.

대전시와 원자력연구원 측의 적극적인 지원 등 후속조치는 필수 과제다. 이것이 가시화 되지 않을 경우 원자력 상설 감시는 요원하다는 관계자들의 현실론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구슬도 꿰어야 보배라고 하듯 기본적인 전문 인력과 장비 확보는 선택이 아닌 필수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충남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