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지역 오피스텔 매매시장이 불황의 터널에서 쉽게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여기서 말하는 불황의 터널은 대전을 비롯한 세종, 충남·북 지역의 매매 거래량 급감을 지칭한다. 이는 고금리, 전세 사기 및 집값 하락 등이 주된 이유이다.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국토교통부의 2023년 전국 오피스텔 매매 거래량을 집계한 결과 2만6696건으로 조사됐다. 2021년 6만3010건에 달했던 매매량은 2022년 4만3558건으로 하락하는 등 2년 연속 거래가 감소하는 추세이다. 특히 2023년에는 무려 38%나 급감한 상태이다.

충청권도 예외는 아니다. 지난해 오피스텔 매매 거래량은 총 1934건으로 전년(2247건)대비 313건이 감소했다. 이중 대전은 571건이 거래돼 2022년(597건)보다 4%가 줄었다. 충남은 838건으로 전년(966건)대비 13%, 충북은 525건에서 384건으로 27%가 각각 줄었다.

그 파장이 커지는 모양새다. 이른바 오피스텔시장에 대한 부정적 전망이 심화되고 있다는 경고의 메시지이다. 그것은 서두에서 언급한 고금리 기조에 전세 사기 매매가 하락 등의 여파임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 추세가 이어지면 가격 경쟁력과 입지 여건을 갖춘 단지 외에는 대부분이 지금의 난제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매매시장의 양극화가 예상된다. 여기에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 이미 전세사기로 인한 크고 작은 부작용 해소가 쉽지 않다는 전문가들의 분석이 바로 그것이다.다시 말해 주변 경제 여건상 오피스텔 매매 격감은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최근 전국 건설사들의 분양가 고공행진이 이어지고 있는 작금의 현실과는 대조적인 현상이 아닐 수 없다. 관건은 당분간 고금리 추세가 이어질 공산이 큰 만큼 오피스텔 매매 감소가 쉽게 해소되긴 어렵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이는 발등의 불’과 다를 바 없다.

최근 도하 언론이 시사하는 부동산 경착륙 신호탄이 될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이유이다. 그렇다면 그 해법은 무엇인지 다시 한 번 따져볼 필요가 있다. 이른바 정부 차원의 유동성 지원과 함께 만성적인 전세사기 해법이 선행돼야 할 것이다.

오피스텔 경기 회복을 위한 다각적인 부동산 환경조성의 시급성은 이미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분양가 고공행진에 따른 실수요자들의 주택 마련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작금의 현주소는 눈여겨볼 대목이다. 그 해법은 다름 아닌 원활한 오피스텔 거래에 초점이 모아진다.

모든 일에는 ‘때’가 있기 마련이다. 정부와 일선 지자체는 고금리와 전세사기 파장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직시하고 그에 걸맞는 대안을 서둘러야 할 것이다. 부동산 침체의 민감한 이 시점에서 그 해법은 빠르면 빠를수록 좋을 것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충남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