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30년까지 메탄 배출량 124만3000여톤 감축을 추진하는 충남도 탄소중립방안이 주목받고 있다.

메탄은 강력한 온실가스로 이산화탄소에 비해 온난화지수가 28배 높아 지구 온난화 원인의 30%를 차지하고 있다. 기후 위기 대응과 탄소중립 실행에 대한 공감대가 확산되고, 안전한 환경에 대한 요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이유다.

충남도의 경우 2021년 기준 메탄 배출량은 총 355만2000톤에 달한다. 전국적으로 도내 온실가스 배출 비중이 높은 충남도 입장에서는 결코 간과할 수 없는 핵심 사안이다

충남도가 석탄·액화천연가스(LNG)·신재생 등 에너지원별 발전량, 판매전력량, 석유‧가스 사용량, 친환경자동차 등록 대수, 폐기물 발생‧처리량 등 연간 데이터를 수집해 월별, 연도별, 부문별, 시ㆍ군별 온실가스 배출량 추이를 분석하고 있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이에 상응하는 다각적인 대처 방안은 선택이 아닌 필수과제이다. 중차대한 이 시점에서 이를 대처하는 충남도의 향후 역할과 그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을 것이다. 그러나 여기에는 전제조건이 뒤따른다.

석탄화력발전소 폐쇄에 따른 경제적 피해 및 지역 소멸 위기에 대한 국가 지원이 바로 그것이다. 이것이 선행돼야 충남도가 역점적으로 추진 중인 탄소중립 방안도 탄력을 받게 될 것이다. 이와 관련, 도민들이 체감하고, 미래 세대가 누릴 수 있는 지속 가능한 환경 조성의 필요성은 굳이 재론할 필요가 없다.

최대 관건은 기후 변화 대응에 소홀한 작금의 탄소배출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일이다. 지속적인 탄소 배출량 감소와 함께 당초 보다 1년 이상 늦어지고 있는 충남기후환경교육원 개관 등 다각적인 홍보 전략을 서둘러야 한다는 지역 여론도 같은 맥락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것이 가시화되어야 충남도가 정부 계획보다 5년 앞당긴 ‘2045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 최종안도 제빛을 발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최종안은 ‘대한민국 탄소중립을 선도하는 힘쎈충남’ 비전과 맥을 같이한다. 그런 관점에서 충남도가 서두에서 밝힌 향후 메탄 배출량 124만3000여톤 감축 방안은 여러 해석을 낳고 있다.

지속 가능한 친환경생태도시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여전히 위험 요소로 남아 있는 환경오염 요인을 도민 모두가 인식하고 대처할 수 있는 체계적인 환경교육이 선행돼야 함은 주지의 사실이다. 다시 말해 환경학습권을 구현하고 세계적인 기후 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논리이다.

이른바 국가 차원의 환경교육 중장기정책수립과 이행, 환경교육 조사 및 연구, 성과 평가 등을 수행할 전문 기관의 역할과 기능이 그 어느 때보다도 요구되는 시점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충남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