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타운' 내포신도시 종합병원 건립이 사실상 무산됐다는 소식이다. 한국중입자암치료센터(센터)가 의료시설 용지 부지에 대한 1차 대금 미납에 이어 16일로 예정된 2차 납부기한도 지키지 못했기 때문이다.

계약 당사자인 충개공은 두 차례의 중도금 미납 시 해지 가능 조항에 근거해 후속 절차를 진행할 계획이다. 단 2주 동안 두 차례 유예·독촉 기간을 부여해 2주후 계약 해지 여부가 판가름 날 예정이다.

실로 실망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이를 둘러싸고 여러 해석을 낳고 있다. 자칫 안면도 관광개발처럼 무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바로 그것이다. 문제는 토지 잔금 납부가 늦어지면서 오는 2022년 개원이 불투명해졌다는 사실이다. 내포신도시 의료사각지대 해소는 절체절명의 과제이다.

지역발전은 물론 현지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도 최대 현안으로 부각된 지 오래다. 이는 충남 혁신도시 내 공공기관 이전의 원활한 추진과도 맞물려 있다는 점에서 그 여파의 중대성을 엿볼 수 있다. 관건은 충남도가 역점적으로 추진 중인 내포신도시 조성과 관련해 이미 설정한 목표를 순조롭게 이행할 수 있느냐에 달려있다.

양승조 충남지사가 “내포신도시를 충남의 혁신도시로 지정하려는 것은 환황해권의 중심으로 삼자는데 의미가 있다”고 혁신도시 추진 배경을 강조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는 참으로 의미심장한 얘기가 아닐 수 없다. 이러한 배경에 의해 해양, 에너지, 농업 분야 등 도정 방향 및 미래 성장동력 산업과 함께 지역민의 삶의 질 향상에 부합하는 크고 작은 공공의료 복지시설 유치가 최대 관건으로 부각되고 있는 것이다.

그 중심에 홍성-예산으로 구성된 내포신도시가 자리 잡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대학교, 종합병원 등 교육 및 의료기관 정착은 미비한 상태다. 이로 인한 환경 저해 및 정주 여건 미흡이 인구 증가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이른바 소멸위기 위험지수 상승은 지자체 발전의 성장 동력 상실과 다를 바 없다. 그 대안으로→ 지역 공동화 현상을 방지하고 내포신도시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크고 작은 공공기관 유치 및 기업유치가 주요인으로 손꼽히고 있다.

결론적으로 말해 앞서 언급한 삶의 질 향상의 바로미터인 의료 및 교육사업도 투자하고 기업 유치에도 매달려야 한다는 것이다. 예로부터 '사람이 있는 곳에 사람이 모인다’는 기본원칙은 도시나 농촌이나 다를 바 없다. 그런 의미에서 내포신도시 종합병원건립은 이를 가시화하기 위한 선결 과제다.

의료시설용지 부지미납과 관련해 향후 2주 동안 진행될 두 차례의 유예·독촉이 어떤 방향으로 가닥을 잡을지 도하언론의 이목이 쏠리는 이유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충남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