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소방서가 봄철 축사화재 빈번에 따라 축사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주의를 당부 에 나선 특별 순찰 계도에 나선다.
공주소방서가 봄철 축사화재 빈번에 따라 축사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주의를 당부 에 나선 특별 순찰 계도에 나선다.
앞전, 관리 부주위로 발생한 축사 화재 현장 모습.
앞전, 관리 부주위로 발생한 축사 화재 현장 모습.

[충남일보 길상훈 기자] 공주소방서가 최근 노후된 전기시설 사용에 따라 축사시설들의 화재가 빈번함에 축사화재 주의에 대한 홍보에 집중한다.

대부분의 축사 화재는 농장의 과다한 전기 사용과 부주의에서 비롯되며, 내부에 보온을 위해 축사를 밀폐하는 행위가 축사 내 습도를 상당수 높여 이로 인해 누전이나 합선사고 위험이 뒤 따르면서 각별한 주위가 요구되기 때문이다.

특히, 축사의 경우 노후화된 전기시설 사용과 밀페된 공간 부족, 샌드위치 판넬 사용이 요즘 급격히 늘어나면서 그 원인으로 연소 확대가 급격히 줄어 자칫 화재시 큰 재산피해로 이어나갈 우려가 상당수 높은 실정이다.

이에 공주소방은 화재예방 안전수칙으로 ▲1축사, 1동별, 1소화기 비치 및 점검 ▲축사 주변 보온덮개, 스티로폼 등 가연물질 제거 ▲소방시설 및 축사 전기·가스설비 정기점검 철저 등의 만전을 위해 축사 관계자의 특별 교육과 기동순찰 운영을 병행해 나갈 방침이다.

이학민 화재대책과장은 "관내 기동순찰 활동을 한층 강화해 축사시설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소방시설 안전점검을 대대적으로 펼쳐나갈 것"이라며, "앞으로도 막대한 농가 피해를 사전 줄여나갈 수 있도록 모든 소방시설에 대해 대응 조치와 전기안전시설 등을 점검에 나설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충남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