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를 훑어보는 심상정 대표.
자료를 훑어보는 심상정 대표.

[충남일보 한내국 기자]  4·15 총선 이후 휴식모드였던 정의당이 총선분석회의를 잇따라 열면서 본격적인 당 활로모색에 들어간다.

이에따라 27일 상무위원회에서 총선 결과와 관련된 상무위원들의 발제를 청취하고 당의 진로를 논의하는 등 '총선 분석회의'를 다음달 7일까지 세차례 진행한다.

심상정 대표 역시 복귀해 본격적인 당 내부 다독이기에 나선다. 심 대표는 지난 20일 상무위원회 이후 언론 인터뷰 등 공개 활동을 하지 않았다.

심 대표는 총선 다음 날인 지난 16일 상무위에서는 눈물을 쏟으며 "고단한 정의당의 길을 함께 개척해 온 우리 자랑스러운 후보들을 더 많이 당선시키지 못해서 정말 미안하다"고 말한 바 있다.
 
정의당은 '심상정 대표 체제'를 유지하면서 당직 개편과 원내대표단 선출 등을 통해 당 분위기를 쇄신한다는 계획이다. 원내대표 선출 방식으로는 '추대'가 거론되는 가운데 인선을 고민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21대 국회에서 원외로 활동하게 될 현역 의원들은 주요 당직에 배치될 것으로 전망된다.

내달 17일에는 전국위원회를 열어 상무위에서 진행한 총선 결과 분석을 공유하고, 당직 개편안을 의결할 계획이다.

정의당은 이번 총선에서 지역구 1석, 비례대표 5석 등 6석을 확보했다.

준연동형 비례대표제가 처음 도입되면서 두 자릿수 의석 확보를 기대했지만, 비례대표 정당의 벽에 막혀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다. 지역구에서도 심 대표만 당선됐다.

정의당은 이런 총선 결과를 냉철하게 분석한 뒤 21대 국회를 위한 당의 전략을 재정비할 예정이다.

우선 180석에 달하는 '슈퍼 여당'과 영남권을 석권한 제1야당의 '양당체제' 속에서 정의당의 존재감을 찾는 일이 시급하다는 진단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충남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