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립박물관은 오는 30일부터 박물관 속 작은 전시 행사로 '정려 포상 청원문서'를 소개한다.(자료제공=대전시립박물관)
대전시립박물관은 오는 30일부터 박물관 속 작은 전시 행사로 '정려 포상 청원문서'를 소개한다.(자료제공=대전시립박물관)

[충남일보 심영운 기자] 대전시립박물관은 오는 30일부터 올해 네번째 박물관 속 작은 전시 행사를 열고, 조선 후기 정려(旌閭) 제도 운영 실상을 보여주는 '정려 포상 청원문서'를 소개한다고 밝혔다.

27일 대전시립박물관에 따르면 정려는 효자와 열녀를 국가가 선별해 붉은 정문(旌門)을 세우고 표창하는 제도로, 단순한 유교적 미덕의 상징을 넘어 가문과 지역의 위상을 드높이는 수단으로 작용했다. 이 때문에 후손들이 정려 포상을 청원하며 지역 유림과 협력하는 사례가 많았다.

이번 전시에 공개되는 문서는 충남 금산지역 회덕 황씨 가문이 1820년부터 1898년까지 약 80년간 올린 청원서류 30여 점이다. 열녀 임천 조씨를 비롯해 아들 황시화, 손자 황도문, 증손자 황학현 등 총 4대를 대상으로 ‘삼세효열(三世孝烈)’, ‘일열삼효(一烈三孝)’라 칭하며 지속적으로 정려 포상을 청원했다.

특히 청원문은 단순한 가족 청원이 아닌 지역 유생들의 연명과 금산향교·유림 단체의 공동 서명이 함께한 조직적 청원 양상을 띠고 있다. 이들은 지방 수령을 넘어 관찰사와 암행어사 등 상급 관청에도 직접 청원서를 올리며 정려 수여를 위해 적극적으로 나섰다.

이번 전시는 조선 후기 정려 제도의 실제 운영 과정을 비롯해 당대 향촌 사회의 효·열 관념, 지역 유림 사회의 조직적 참여 양상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대전시립박물관 관계자는 “이번 전시에 소개되는 문서들은 조선 후기 유교 윤리관과 향촌 질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며, 정려 제도의 실제 운영 양상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희귀 사료”라고 전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충남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