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가 2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https://cdn.chungnamilbo.co.kr/news/photo/202511/860243_440051_3643.jpg)
[충남일보 한내국 기자]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가 당원 주권시대를 열겠다면서 추진하고 있는 이른바 '1인1표제' 당헌·당규 개정의 당내 반발이 커지면서 진통을 겪고 있다. 정 대표는 정면돌파를 천명하고 있지만 이언주 의원에 이어 친명계 모임까지 반발하면서다.
이같은 논란과 관련 박수현 수석대변인은 페이스북에 '상당수 최고위원이 당헌·당규 개정에 우려를 표했고, 몇몇 최고위원이 불참한 가운데 안건이 의결됐다'는 이언주 최고위원의 전날 주장에 대해 "사실과 다른 인식"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 최고위원과 한준호 최고위원, 황명선 최고위원이 대의원 제도와 전략 지역 보완 대책 마련을 제안하시면서 '숙의의 시간이 필요하다'는 의견이고 정 대표는 그 의견들을 경청하며 '대의원 역할 재정립' 태스크포스(TF) 구성을 지시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 최고위원이 '반대' 의견을 남기고 이석했고, 이 최고위원은 의결에 참여하지 않았지만 정 대표가 '반대'로 기록하는 게 맞겠다고 정리해 의결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는 찬성 7 반대 2로 의결된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그러면서 당헌·당규 개정에 대해 지난 8·2 전당대회를 관통한 화두이자 당원의 합의였고, 당 대표의 공약"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정 대표는 이른바 당원 주권 시대를 열겠다면서 지난 17일 1인1표제 개정을 공식화하고 전 당원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했고 이 조사에서 '1인 1표제' 관련 안건에 86.8%가 찬성하자 "거스를 수 없는 대세"라고 평가하면서 전날 최고위에서 당원·당규 개정을 추진키로 의결했다.
그러나 이언주 최고위원은 전날 페이스북 글을 통해 "과반에 가까운 상당수 최고위원이 우려를 표하고 숙의를 원했음에도 강행, 졸속 혹은 즉흥적으로 추진된 부분에 대해 유감"이라며 재고를 요청했다. 그는 또 전 당원 여론조사에 대해서도 투표권자의 16.8%밖에 참여하지 않았다면서 "'압도적 찬성'이라며 개정안을 밀어붙이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비판했다.
당내 강성 친이재명계 모임 더민주전국혁신회의도 이날 '당원들이 원하는 건 진짜 당원주권'이라는 제목의 논평을 내고 전당원 여론조사에 대해 "권리당원의 압도적 다수인 83.19%가 여론조사에 불참했다"면서 "압도적 찬성이라는 지도부의 자화자찬이 낯 뜨겁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정청래 지도부의 행보에 대한 당원들의 우려가 점점 커지고 있다"며 당헌·당규 개정안에 대해 "대의원과 당원 모두 1인 1표로 하자는 취지는 좋으나, 의견수렴 방식·절차적 정당성·타이밍 면에서 '이렇게 해야만 하나'라는 당원들의 자조 섞인 목소리가 봇물 터지듯 들려온다"고 밝혔다.
이들은 당원 여론조사 참여 기준 문제 등도 제기한 뒤 "이재명 대통령이 G20 해외순방에 나선 기간이어야만 했는가"라고 반문했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가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에서 열린 국민의힘 송언석 원내대표의 교섭단체 대표 연설을 듣다 박수현 수석대변인과 심각히 대화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s://cdn.chungnamilbo.co.kr/news/photo/202511/860243_440053_3812.jpg)
이언주 최고위원과 혁신회의의 이런 공개 비판은 이번 개정 강행이 당 일각에서 이른바 '정청래 대표 연임용'이 아니냐는 지적과 함께 이 대통령이 힘있게 국정을 이끌어 가야 하는 상황에 정 대표가 자기 정치를 하면서 이른바 명청 갈등을 야기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는 마당이어서 주목된다.
동시에 '1인 1표제'가 도입될 경우 절대적으로 당원 규모가 큰 호남 지역과 특정 성향 지지층의 의사가 당에서 과대 대표 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더불어민주당은이달 24일 당무위, 28일 중앙위를 각각 열어 이번 당헌·당규 개정안을 의결한다는 방침이지만 당 안팎에서 잡음이 커질 경우 의결 과정에서 진통도 적지 않을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