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의회 산업건설위원회 회의 모습. (사진제공=대전시의회)
대전시의회 산업건설위원회 회의 모습. (사진제공=대전시의회)

[충남일보 이연지 기자] 대전시의회 산업건설위원회에서 시의 바이오·2차전지 지원 정책, 대덕특구 융합연구혁신센터 조성사업 등이 도마 위에 올랐다. 

방진영 의원(더불어민주당·유성구2)은 24일 열린 제291회 제2차 정례회에서 바이오 교류회 사업 취지와 운영 현황에 대해 짚었다. 방 의원은 "대전의 바이오 산업이 6대 전략산업 중 가장 성과가 뛰어난 데 반해 올해 교류회가 7·8회 두 차례 열렸음에도 참여 기업 수가 너무 적었다"고 지적했다.

대전시 관계자는 "IR(기업설명회)이 가능한 기업을 엄선해 뽑은 것으로, 투자 유치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예산이 더 확보된다면 지역 외 벤처캐피털(VC)이나 외국의 빅파머(대형 제약사)들까지 참여시킨다면 의미있는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IR에 참여했던 4개 기업, 약 576억 원 규모의 투자 의향이 오고 가기도 했다"고 밝혔다.

방 의원은 "대전 바이오 기업이 300곳이 넘는데 4~5개 기업만 참여하는 것은 부족하다"며 "홍보를 강화해 더 많은 기업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영삼 의원(국민의힘·서구2)은 바이오 산업 전반의 예산 감액을 언급했다. 김 의원은 "바이오 혁신 신약 특화단지, 바이오 창업 지원, 바이오 헬스 사업 모두 삭감됐다. 투자해야 할 사업의 몫은 줄이고, 바이오 교류회에 1억 원을 쓰는 게 타당하냐"며 "시의 목표가 기존 바이오 업체를 발굴해 상장을 시키는 것인지, 바이오 산업을 육성하는 것인지를 분명히 해야 한다"고 질타했다.

그러면서 "준비된 기업만 IR 기회를 갖게 되면 결국 성과 위주의 정책이 된다"며 "약체된 기업들을 성장시키는 예산은 줄이고 교류회를 우선시 한다는 건 순서가 뒤바뀐 것"이라고 덧붙였다.

대전시 관계자는 "바이오 기업의 역량 강화와 투자 유치라는 두 축을 통해 가시적으로 성과를 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길을 열어주는 것이 핵심"이라며 "중요한 부분이 훼손되지 않도록 집행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2차전지 산업 선도기업 육성사업'에 대해서도 비판의 목소리를 이어갔다. 그는 "대전시가 2030년까지 880억 원을 투자해 2차 전지 산업을 선도하겠다고 했으나, 3년 예산 편성 과정을 보니 2024년 20억, 2025년 10억, 내년에는 8억으로 줄어든다”며 "이렇게 줄여서 어떻게 선도하겠다는 것이냐"고 따져 물었다.

대전시 관계자는 "6대 전략산업과의 균형을 맞춰 최대한 예산을 확보를 하고자 했지만, 해당 사업이 전략산업으로 분류되지 않은 상태에서 진행돼 감액된 측면이 있다"며 "실질적인 앵커 기업뿐만 아니라 잠재력 있는 기업을 발굴해 키울 수 있도록 재점검 하겠다"고 덧붙였다.

김 의원은 "대전은 수도권 제외 최고 수준의 2차 전지 특허 출원을 갖고 있는데, 지금이야말로 집중 투자해야 할 시기"라며 "커나갈 수 있는 기업들의 존재 자체가 없어질 수가 있는 만큼, 간과하면 안 된다"고 당부했다.

박주화 의원(국민의힘·중구1)은 '대덕특구 융합연구혁신센터 조성 사업'이 수년째 지연되는 데 문제를 제기했다. 박 의원은 "2018년에 계획된 사업이 2024년 착공 예정이었음에도 하지 못 했고, 2025년도 역시 가능할지 염려하는 언론 보도도 나왔다"며 "제대로 추진할 수 있는 것이 맞느냐"고 질의했다.

대전시 관계자는 "당초 디스텝(대전과학산업진흥원) 부지에 본관 건물을 리모델링해 융합연구혁신센터를 조성코자 했으나, 시장께서 현장 방문 뒤 가용할 수 있는 옆 공간을 활용해 신축해 보자는 주문을 하셨다. 다만 중앙부처와의 협의 과정에서 총사업비 조정 절차가 기획재정부와 함께 걸려 있어 아직 완결이 나지 않은 상황"이라며 "설계는 내년 초 완료할 예정이며 2026년 9월경 착공해 2028년까지 나머지 공기를 확보한 후 준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충남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