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남일보 이연지 기자] 더불어민주당 대전시당이 25일 '과학수도 완성과 대전의 미래성장전략' 정책 토론회를 개최했다.
고영주 박사는 주제 발표를 통해 "지난 50년 대덕연구단지가 국가 주도로 대한민국의 주력 산업(반도체, 통신, 조선·우주산업 등)을 견인했다면, 앞으로의 50년은 대전이 스스로 혁신을 주도하는 '자생적 딥테크 산업 생태계'를 구축해 대한민국을 먹여 살려야 한다"고 피력했다.
이어 "대전이 WIPO 평가에서 아시아 1위, 세계 6위의 과학기술 클러스터로 인정받고 바이오 기업 시가총액만 49조 원에 이르는 독보적 잠재력을 지니고 있음에도, 이러한 역량이 지역 혁신으로 충분히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기존의 대기업 중심, 중앙부처 주도형 혁신 모델은 한계에 봉착했다"며 "지역이 주도적으로 기획하고 중앙이 이를 지원하는 '내생적 혁신 체계'로 전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구체적인 실행 전략으로는 ▲지식재산·투자·인재 규모의 2배 확충 ▲바이오·우주·반도체 등 지역 강점 산업의 공급망 강화 ▲충청권 첨단산업 벨트 구축 등으로 구성된 '10대 추진 의제'를 제시했다.
고 박사는 "성공적인 과학산업 수도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산·학·연·관은 물론 시민과 정치권까지 협력하는 '쿼드러플 헬릭스(Quadruple Helix)' 모델이 필수적"이라며 "대전이 중앙의 예산만 기다리는 수동적 자세에서 벗어나, 글로벌 시장과 경쟁하며 대한민국 미래 성장동력을 창출하는 주체로 거듭나야 한다"고 말했다.
토론자로 나선 권기석 한밭대 교수는 "대전이 풍부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갖추고도 지식이 비즈니스로 연결되는 혁신 생태계와 거버넌스가 부족해 실질적인 경제 발전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며 "현재 중국의 성장 사례나 과거 KIST 설립 당시의 파격적인 지원처럼, 기존의 틀을 깨는 새로운 리더십과 실행 체계를 도입해 인재가 모이고 기술이 사업화되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다.
김석균 박사는 "출연연이 연구과제 중심 제도(PBS)라는 구조적 한계로 인해 지역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나서기 어려웠던 것이 현실"이라며 "대전시가 전략 자산인 출연연을 주도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정책의 실행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치권도 적극적인 조정 플랫폼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남현 (주)알앤디프로젝트 대표는 "대전의 IT 및 소프트웨어 기업들이 실질적으로 지역 청년들에게 가장 많은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행정적 지원 부족과 인프라 부재로 인해 기업들이 소외받거나 지역을 떠나고 있다"며 "청년들이 선호하는 도심 역세권에 판교와 같은 '테크노밸리'를 조성해 기업과 인재가 모일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만 지역 경제 활성화와 세수 확보가 가능하다"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