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4개 시도와 국민의힘이 5일 대전시청에서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를 진행했다.(사진제공=대전시)
충청권 4개 시도와 국민의힘이 5일 대전시청에서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를 진행했다.(사진제공=대전시)

[충남일보 심영운 기자] 충청권 4개 시도와 국민의힘이 5일 대전에서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를 열고, 지역 현안 해결과 내년도 국비 확보를 위해 머리를 맞댔다. 

대전시 등에 따르면 이날 시청에서 진행된 회의엔 장동혁 대표, 송언석 원내대표, 김도읍 정책위의장, 박형수 예결위 간사 등 국민의힘 지도부와 이은권 대전시당위원장을 비롯한 4개 시도당 위원장, 이장우 대전시장, 최민호 세종시장, 김영환 충북지사, 전형식 충남도 정무부지사 등이 참석했다.

협의회는 지역의 당면 현안 과제를 공유하고, 국회 예산심사를 앞두고 시도별 국비 확보 방안에 대해 당 지도부와 긴밀한 협력을 이끌어 내기 위해 마련됐다. 

이 시장은 이날 지역 현안·국비 확보 당위성과 필요성을 적극 역설했다.

이 시장은 “영호남 중심의 정치 구도 속에서 충청 출신 장동혁 당대표의 선출은 상당히 큰 의미”라며 “이런 측면에서 내년도 예산은 영호남과 충청의 삼각 균형이 맞춰져야 한다. 특히 여러 현안이 있지만 대전의 경우 대전교도소 이전과 혁신도시 공공기관 이전이 최우선으로 배려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소비쿠폰 중앙정부 예산 지원과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운영이 국가의 책임 영역임을 피력하며 사업비 반영을 강조했고, K-콘텐츠 성장에 발맞춰 추진 중인 웹툰 IP 첨단 클러스터 조성사업 등 주요 국비사업이 반드시 반영될 수 있도록 당 지도부의 적극적인 역할을 요청했다.

충청권 4개 시도와 국민의힘이 5일 대전시청에서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를 진행했다.(사진제공=대전시)
충청권 4개 시도와 국민의힘이 5일 대전시청에서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를 진행했다.(사진제공=대전시)

세종시는 내년도 예산안에 반영이 필요한 국비사업과 주요 현안사업 등 총 18건을 건의했다. 

우선 법원설치법 개정안이 시행되는 오는 2031년 3월에 맞춰 세종지방법원이 개원할 수 있도록 정부예산안에 미반영된 세종지방법원 설계 예산을 국회 심의 과정에서 반영해 줄 것을 요청했다. 

또 행정수도 명문화, 대통령 집무실·국회의 완전 이전, 수도권 중앙행정기관의 세종 이전에 당의 역량을 모아줄 것을 건의했다.

특히 어려운 재정 여건을 타개하기 위한 가장 시급한 현안으로 지방교부세 제도의 개선 필요성을 강조했다. 

최 시장은 “지난 13년간 국가 전체 지방교부세 규모는 30조 원에서 60조 원으로 2배 증가했음에도, 세종시가 받는 교부세는 같은 기간 1591억 원에서 1159억 원으로 27% 감소했다”고 지적했다.

충남도는 내년도 정부 예산 국회 증액 필요 사업 15건과 지역 현안 5건을 건의했다.

정부 예산 확보가 필요한 사업은 충남대 내포캠퍼스 설립, 충남혁신도시 과학영재학교 설립, 국립 치의학연구원 천안 설립,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서산분원 설치, 내포신도시 스포츠가치센터 건립, 지능형 센서 스핀 온(Spin-on) 지원센터 구축, 해양환경 대응형 소재부품 시험평가센터 구축, 부여 공공한옥(백제관) 건립, 성거-목천(국도 1호) 건설, 인공지능(AI) 기반 중소·중견 지원 디스플레이 파운드리 구축, 그린반도체 공정 시험장(테스트베드) 기반 구축, 국립국악원 서산분원 건립, 보령 경찰수련원 신축, 충청권역 국립청소년디딤센터 건립, 정치성 구획어업 낚시어선 감척 지원 등이다.

또 지역 현안으로 대전충남특별시 설치 및 경제과학수도 조성을 위한 특별법 제정, 석탄화력발전소 폐지지역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정, 충남혁신도시 수도권 공공기관 조속 이전, 제2중앙경찰학교 충남 설립 등 5건을 건의하고 당 차원의 지원 필요성을 강조했다.

전 부지사는 “이번에 요청한 사업들은 지역뿐만 아니라 국가 미래를 위한 주요 핵심사업인 만큼 국가 재정이 어렵더라도 당 차원에서 아낌없는 지원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충북도는 주요 현안으로 청주국제공항 민간전용 활주로 건설, 청주국제공항 중심 교통망 확충(청주공항~김천 철도, 청주공항~신탄진 광역철도, 중부권 광역급행철도, 행복도시~청주공항 고속화 도로), 충주댐 수열에너지 특화단지 조성, 제천(청풍호) 내륙 국가어항 지정, AI바이오(노화) 거점·K-바이오스퀘어 예타면제 등 5건을 중점 건의했다.

또 KAIST 부설 충북 AI BIO 영재학교 설립과 중부내륙연계발전지역 지원에 관한 특별법 개정 등 총 20개 사업에 대한 당 차원의 지원을 요청했다. 

장 대표는 “충청권은 대한민국의 허리이자 중심이다. 과학, 행정, 산업, 바이오 교통의 중심이다. 충청권이 손잡아 경제과학수도로 도약할 수 있도록 당이 적극 뒷받침하겠다”라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충남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