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남일보 심영운 기자] 대전마을기업연합회가 오는 7일 대전사회적경제혁신타운에서 올해 마을기업 정책포럼을 진행한다.
5일 연합회에 따르면 이번 포럼은 최근 제정된 마을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을 앞두고 법 제정 후 마을기업 역할과 과제, 현장 대응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대전사회적경제혁신타운 개관을 기념해 열리는 첫 공식 정책 행사다.
행사는 김미정 대전마을기업연합회장의 인사말을 시작으로 전대욱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연구위원이 ‘마을기업 법제정 이후 전망과 과제’를 주제로 발제를 진행하며, 정부와 학계, 현장 실무자가 참여하는 토론이 이어질 예정이다.
토론자로 송재용 행정안전부 사무관이 ‘법제정 이후 행정지원 체계와 절차’에 대해 설명하고, 박종찬 인천마을기업중간지원기관 팀장이 ‘법제정 후 지원체계와 현장의 괴리 및 제도적 보완점’에 대해 의견을 제시한다.
또 민병도 인공지능과학기술인협동조합 이사장이 ‘제도 변화에 따른 마을기업 현장의 입장과 실무적 어려움’을 공유하고, 서진선 한남대 사회적경제기업학과 교수가 ‘법 제정의 제도적 의미와 향후 과제’를 분석한다.
김 회장은 “마을기업법 제정은 지역 공동체경제 정책의 중요한 전환점”이라며 “이번 포럼이 대전 마을기업이 제도 변화 속에서 안정적으로 성장하고, 현장의 의견을 정책에 반영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마을기업은 마을 주민이 지역의 다양한 자원을 활용해 공동의 문제를 해결하고 안정적인 소득과 일자리를 창출하는 마을 단위 기업이다. 현재 대전엔 66개 마을기업이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연합회는 대전 마을기업 당사자들의 협의·조정 조직이자 중간지원기관으로 만남과 소통, 신뢰와 배려, 연대와 협력의 가치를 바탕으로 지역균형발전과 마을공동체 경제 활성화를 위한 공동체경제의 거점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