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경상수지가 월간 기준 역대 두 번째 흑자 규모를 달성했다.(사진제공=연합뉴스)
9월 경상수지가 월간 기준 역대 두 번째 흑자 규모를 달성했다.(사진제공=연합뉴스)

[충남일보 이승우 기자] 9월 경상수지가 29개월 연속 흑자 흐름을 이어간 가운데 월간 기준 역대 두 번째 흑자 규모를 보였다.

한국은행이 6일 발표한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9월 경상수지는 134억7000만 달러 흑자로 집계됐다.

8월(91억5000만 달러)과 작년 9월(112억 9000만 달러) 대비 흑자 폭이 각각 43억2000만 달러, 21억8000만 달러 확대돼 월간 기준 역대 2위를 기록했고 9월 기준으로는 사상 최대였다.

이로써 1∼9월 누적 경상수지 흑자는 827억7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672억3000만 달러) 대비 약 23p 증가하며 사상 최대를 새로 썼다.

상품수지는 142억4000만 달러 흑자로, 2017년 9월(145억2000만 달러)에 이어 역대 9월 중 두 번째 규모였다.

국제수지 기준 수출은 672억7000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9.6p 늘었고 수입은 530억2000만 달러로 4.5p 증가했다.

통관 기준으로는 반도체 22.1p, 선박 23.8p, 자동차 14p의 증가세가 이어졌고 정보통신기기는 6.4p 줄었다.

지역별로 동남아와 EU, 일본은 증가로 전환했고 미국은 1.4p 감소했다. 앞서 통관 기준 수출 659억3000만 달러, 수입 564억 달러로 집계된 수치도 제시됐는데 기준 차이에 따른 수치 괴리는 있었으나 방향성 측면에선 수출 호조가 뚜렷했다.

다만 서비스수지는 33억20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운송수지가 5개월 만에 적자로 전환했고 지식재산권 사용료 수지는 전월의 계절적 사용료 수입 집중이 해소되면서 적자 폭이 확대됐다.

여행수지 적자는 8월 대비 축소됐으나 전체 서비스수지 적자 확대를 상쇄하진 못했다.

이는 해상 운임의 구간별 차이로 수출·수입 운임 단가의 방향이 갈리면서 운송수지가 적자 흐름을 보인 것으로 분석됐다.

본원소득수지는 29억6000만 달러 흑자였다. 배당소득수지 흑자는 23억6000만 달러로, 전월 분기 배당 지급 요인 해소에 따라 폭이 커졌다.

대미 수출이 관세 품목을 중심으로 부진했음에도 6월엔 사상 최대, 9월엔 역대 두 번째 경상수지 흑자를 기록했다며 반도체 슈퍼사이클 진입과 자동차의 유럽 등 수출 다변화가 방어막이 된 것으로 평가됐다.

국제 유가 하락에 따른 수입 측면의 부담 완화와 누적 대외 순자산에서 발생하는 배당·투자 소득 유입도 흑자 기조에 힘을 보탰다.

자본 유출입을 나타내는 금융계정에선 순자산이 129억 달러 증가했다.

내국인 해외 증권투자는 111억9000만 달러 늘었고 이 중 주식 투자가 85억3000만 달러로 전월 대비 증가했다.

채권(부채성 증권) 투자도 26억7000만 달러 늘었으며 외국인의 국내 증권투자는 주식과 채권 모두 합해 90억8000만 달러 증가했다.

직접투자에서는 내국인의 해외 직접투자가 56억6000만 달러로 지분투자를 중심으로 크게 늘었고 외국인의 국내 직접투자는 18억 달러로 줄었다.

기타투자에선 자산이 무역신용을 중심으로 111억1000만 달러 증가로 전환했고 부채는 차입을 중심으로 73억 6000만 달러 늘었다.

한국은행 신승철 경제통계1국장은 “10월은 추석 연휴에 따른 조업 일수 감소로 무역수지와 경상수지 흑자 규모가 9월 대비 축소될 가능성이 있다”며 “다만 11∼12월에는 반도체 호조와 본원소득수지 흑자 기조를 감안할 때 다시 양호한 흐름을 회복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충남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