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어기구 의원이 국회에서 소나무재선충병 대응세미나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이날 어 의원은 협력적 거버넌스를 통한 새로운 국가방제전략의 방향을 공유했다.[사진제공=어기구 의원실]](https://cdn.chungnamilbo.co.kr/news/photo/202511/858141_438052_3712.jpg)
[충남일보 한내국 기자]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장 어기구 의원(더불어민주당, 충남 당진)이 10일 국회에서 기후재난 시대, 소나무재선충병 국가방제 성공전략 세미나를 열어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을 통해 새로운 국가방제전략 방향을 모색했다.
행사에는 산림청과 학계, 연구기관, 현장 전문가, 지방자치단체 관계자 등 30여 명이 참여해 기후위기 심화로 확산 양상이 복잡해진 소나무재선충병의 방제정책을 전면 재점검하고 실질적이고 지속가능한 방제정책 수립을 위한 심도 있는 논의가 이어졌다.
발제를 맡은 정종국 강원대 교수는 "외래종 관리 이론에 기반한 소나무재선충병 대응전략 수립 방향"을 주제로 소나무재선충병 대발생의 원인을 분석하여 해외의 다양한 방제전략을 설명했다.
정 교수는 “기후변화에 따른 솔수염하늘소와 북방수염하늘소 등의 매개충의 분포변화로 소나무재선충병 발생이 더욱 복잡한 양상으로 변화되고 있다”면서 “우리나라의 방제정책도 국제사회의 생태계 복원과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국제협력체계에 대응해 산림생태계 복원과 보전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방제패러다임을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용권 산림청 산림재난통제관은 "소나무재선충병 국가방제전략 추진 방향 및 정책과제"를 주제로 현재까지의 우리나라의 방제대책과 향후 방제전략 수립방향과 주요 정책과제에 대해 발표했다.
이 통제관은 “기후위기 시대 재선충병 확산 방어선인 국가선단지를 중심으로 재선충병 청정지대를 확대하고 재난에 강한 건강한 숲을 조성하는 것이 목표”라며 이를 위해 “유기적?선제적 방제전환, 경제.환경에 기여하는 플러스방제 개선, 지속가능한 관리체계 구축”등의 3대 전략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어진 개별발표에서는 손요환 교수(고려대학교)가 좌장을 맡아 제주ㆍ군산 지역의 방제 성공사례, 피해고사목의 자원 순환과 고부가가치 활용 전략, 산림병해충 방제와 생태계 보전의 조화방안 등 다각도의 논의가 이어졌다.
어기구 위원장은 인사말을 통해 “소나무재선충병은 작은 산림병해가 아니라 우리 생태계의 균형이 달린 심각한 문제”라며, "숲을 살리는 방제정책은 단기 예산사업이 아니라 중장기적인 산림복원 전략과 연계해 추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