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중앙회가 11일 서울 여의도 중기중앙회에서 ‘중소 제조업 전환 전략’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사진제공=중기중앙회)
중기중앙회가 11일 서울 여의도 중기중앙회에서 ‘중소 제조업 전환 전략’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사진제공=중기중앙회)

[충남일보 이승우 기자] 중소기업중앙회가 ‘중소 제조업 전환 전략: 위기에서 혁신으로’ 정책토론회를 열고 글로벌 산업환경 변화 속에서 중소 제조업의 위기 극복 및 혁신 방향을 모색했다.

이번 토론회는 11일 서울 여의도 중기중앙회에서 열렸으며 급변하는 산업 구조 속에서 중소 제조업의 경쟁력 약화 원인을 진단하고 기업의 자구적 혁신과 정부의 정책 지원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함께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오기웅 중기중앙회 상근부회장은 인사말에서 “제조업은 위기이자 기회의 변곡점에 서 있다”며 “오늘 토론회가 경쟁력 강화를 위한 현실적 해법을 제시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발제를 맡은 오윤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향후 10년은 대한민국 제조업 경쟁력을 결정짓는 시기”라며 ‘현장 개선 중심의 첨단화’, ‘탄소중립 대응을 위한 공동 인프라 구축’, ‘AI·로봇 기술 도입의 지속성 확보’, ‘혁신투자와 신용성 연계’ 등 네 가지 과제를 제시했다.

이후 종합 토론에서는 민·관·연 전문가들이 GX(그린 전환)·AX(AI 전환) 중심의 혁신 전략을 논의했다.

박평재 중기중앙회 부회장은 “표면처리 업계는 환경·안전 규제가 200개를 넘는다”며 업종별 공동 대응체계 마련을 위한 정책 지원을 요청했다.

장용환 경인주물공단사업협동조합 이사장은 “전력 다소비 업종의 원가 압박이 심화됐다”며 전력비 보조 및 차등 요금체계 정책 필요성을 제기했다.

곽지훈 ㈜에이아이네이션 대표는 “정부 지원사업이 단기 실증에 그쳐 현장 기술 내재화가 어렵다”고 지적했고 김주미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AI 공급기업 인증제도와 현장 교육 병행으로 AI 리터러시를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권순재 중소벤처기업부 지역기업정책관은 “2030년까지 AI 중심 스마트공장 1만 2000개 구축, 산업재해 20% 감축을 목표로 중소 제조기업 AI 대전환, 기술기업 육성, 데이터 표준화 등 인프라 확충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양찬회 중기중앙회 혁신성장본부장은 “탄소중립과 AI 전환 시대에 기업가 정신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며 “업종별 데이터 표준화와 상생형 지원모델을 통해 공동 대응 역량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이와 함게 같은 날 오후에는 ‘2025년 제2차 뿌리산업위원회’가 열려 금형, 주물, 소성가공 등 뿌리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이 논의됐다.

위원회에는 박평재 위원장을 비롯해 고승진 산업통상자원부 뿌리산업팀장, 채창옥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국가뿌리산업진흥센터 소장 등 15명이 참석했다.

위원들은 전력요금 제도 합리화와 에너지 전환 지원 필요성을 공감하며 과도한 산업용 전기요금이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 과정에서 기업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재혁 (재)한마음재단 연구위원은 ‘산업용 전기요금 제도 개선방안’을 주제로 발제하며 현행 피크연동제의 개선과 수요자원시장(DR) 활성화를 제안했다.

박평재 위원장은 “뿌리산업의 지속 성장을 위해 에너지비용 완화 대책이 시급하다”며 “위원회가 현장의 의견을 정부에 적극 전달하겠다”고 밝혔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충남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