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남일보 이승우 기자] 노후 대비 인식과 실제 생활 양태가 동시에 변화하고 있다.
국가데이터처가 11일 발표한 ‘2025년 사회조사’에 따르면 19세 이상 인구의 71.5%가 노후를 준비하고 있다고 답해 관련 통계 개편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노후 준비 방식은 국민연금이 58.5%로 가장 높았고 예금·적금 16.9%, 직역연금 8.1%, 사적연금 5.0%, 퇴직급여 4.1%, 부동산 운용 3.9%가 뒤를 이었다.
남자 75.4%, 여자 67.7%로 성별 격차가 나타났고 연령별로는 50대 83.8%, 40대 81.2%, 30대 76.0% 순으로 준비 비중이 높았다.
반면 노후를 준비하지 않는 이유로는 준비할 능력 없음 37.9%, 앞으로 준비할 계획 35.2%, 아직 생각 안 함 19.0%가 주로 꼽혔다.
사회가 노후를 위해 관심을 가져야 할 과제로는 노후 소득지원 34.2%, 의료·요양보호 서비스 30.6%, 노후 취업 지원 23.8% 순이었다.
50대 이하에서는 소득지원을, 60대 이상에서는 의료·요양보호 서비스를 상대적으로 더 중요하게 인식했다. 농어촌은 도시보다 의료·요양보호 서비스와 문화·여가 복지, 교통·주거환경 조성의 필요성을 높게 봤다.
노후를 보내고 싶은 방식으로는 취미 활동 42.4%, 여행·관광 활동 28.5%, 소득창출 활동 14.3%가 상위를 차지했다.
이 중 남자는 취미와 소득창출 활동 선호가, 여자는 여행·관광·종교·자원봉사 활동 선호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모든 연령대에서 취미 활동 선호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여행·관광 활동 선호는 연령이 높을수록 낮아진 반면 종교 활동과 가족돌봄 활동 선호는 연령이 높을수록 높아졌다.
실제로 60세 이상 고령자의 현재 노후 생활은 소득창출 활동 34.4%, 취미 활동 32.2%, 가족돌봄 활동 10.9% 순이었다.
연령이 높아질수록 소득창출 활동 비중은 낮아지고 취미·가족돌봄·종교 활동 비중은 높아졌다. 60~64세에서는 소득창출 활동 응답이 48.9%에 달했다.
아울러 생활비 마련 주체도 자립 기조가 강해졌다. 60세 이상 고령자의 79.7%가 본인·배우자가 주로 생활비를 부담한다고 답했으며 자녀·친척 지원 10.3%, 정부·사회단체 지원 10.0%는 각각 10명 중 1명 수준에 그쳤다.
본인·배우자가 부담하는 경우 마련 방법은 근로·사업소득 57.8%, 연금·퇴직급여 31.0%, 재산소득 6.7%, 예금(적금) 4.6% 순으로 나타났다.
가족 관계에서는 비동거가 보편화되는 흐름이 뚜렷해지고 있었다. 60세 이상 고령자의 72.1%가 현재 자녀와 따로 산다고 답해 2년 전보다 3.7p 높아졌다.
비동거 이유로는 본인 또는 배우자의 독립생활 가능 34.6%, 따로 사는 것이 편해서 34.0%, 자녀에게 부담이 될까봐 18.1%가 꼽혔다.
향후에도 자녀와 따로 살고 싶다는 응답은 81.0%로 2년 전 대비 2.2p 상승했으며 남자가 여자보다 비동거 선호 비중이 더 높았다.
이외에도 장례 문화의 선호도 변화도 이어졌다. 가장 선호하는 장례 방식은 화장 후 봉안(납골) 시설 안치 36.5%였고 화장 후 자연장 32.2%, 화장 후 산·강·바다에 뿌림 23.8%가 뒤를 이었다. 매장(묘지) 선호도는 6.8%로 하락세가 지속됐다.
경제계 한 전문가는 “이번 조사에선 노후 대비가 확대되는 흐름과 함께 소득원 다각화, 생활자립, 자녀와의 비동거, 장례 방식의 간소화 선호가 동시에 진행되고 있다”며 “노후 준비의 양이 늘어난 만큼 소득·의료·요양 인프라와 지역별 서비스 격차를 줄이는 질적 보완이 병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