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남일보 이연지 기자] 충청권을 포함한 대부분의 인구감소지역에서 중장년층의 순유입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미래연구원의 '인구감소지역의 새로운 기회 요인 탐색: 중장년층 유입과 발전 방안'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인구감소지역의 인구 이동 흐름을 분석한 결과, 부산 동구를 제외한 88곳은 청년 순유출이 발생했다. 반면 중장년층은 순유입이 늘었다.
20~30대 청년층이 진학과 취업을 위해 도 지역에서 광역시로 이동하는 것과는 다르게 50대 이상 중장년층은 삶의 질 향상과 경제적 효율성을 추구하며 광역시에서 도 단위로 이동하고 있다.
89개 시군구 중 중장년층 유입이 가장 많은 지역은 인천 강화군으로 최근 5년간 3157명이 유입됐다. 다음으로는 경북 영천시 2911명, 경남 밀양시 2511명, 충남 예산군 2351명, 경기 가평군 2258명, 강원도 횡성군 2186명, 충남 태안군 2169명 순으로 뒤를 이었다.
2023년 국내 인구이동통계 마이크로데이터를 활용해 89개의 인구감소지역으로 유입된 50~64세 중장년층을 세대주로 하는 가구 이동을 살펴보면, 충북은 옥천군이 297가구로 가장 많은 순유입을 기록했다. 이어 제천시 203가구, 영동군 189가구, 보은군 158가구, 괴산군 157가구, 단양군 127가구 순으로 순유입이 나타났다.
충남은 금산군 334가구, 예산군 331가구, 태안군 310가구, 공주시 245가구, 보령시 184가구, 청양군 171가구, 부여군 130가구, 서천군 122가구, 논산시 91가구 등의 순유입을 보였다.
중장년층의 이주 패턴은 광역 생활권 내 근거리 이동이 주를 이뤘다. 모든 인구감소지역의 중장년층 인구 유입은 40~80% 가량 동일 광역시·도 내에서 이동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익숙한 지역에서 더 나은 주거환경을 찾는 경향이 있음을 시사한다.
중장년층의 전입 사유는 '주택'이 50% 이상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직업'은 그 뒤를 이었는데, 특히 50~54세(22.1%), 55~59세(21.0%) 연령대에서 직업을 전입 사유로 응답한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주택 요인이 이동 사유로 크게 작용한 건 생애주기 변화(은퇴 준비, 자녀 독립 등)에 따른 주거 조정으로 분석됐다.
연구원은 "중장년층은 자산과 사회경험을 보유해 인구감소지역 활성화의 촉진제 역할을 할 수 있다"며 "경제, 의료, 사회적 관계, 정주여건의 격차가 실질적 귀향·귀촌의 장벽으로 작용하므로, 안정적 생계유지를 위한 일자리 정책, 공공의 농지 매입·임대, 의료환경 개선, 사회적 관계망 형성 지원 등 다각적인 전략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