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남일보 김현수 기자] 홈플러스 매각과 관련해 국민 다수가 인수 주체로 농축협 계열 유통기업이 가장 적합하다고 평가했다. 이는 글로벌 대비 낮은 국내 유통산업 경쟁력과 농축산물 유통 확대 필요성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리얼미터에 따르면 홈플러스 인수에 가장 적합한 기업으로 농축협 계열 유통기업을 선택한 응답이 38.8%로 가장 높았다. 이어 오프라인 대형마트 중심 기업 23.8%, 이커머스 플랫폼 기업 13.8%, 편의점 중심 유통기업 8.5% 순이었고 중국계 글로벌 이커머스 기업은 3.4%에 그쳤다. 전체적으로 글로벌 대비 한국 유통산업 경쟁력이 낮다는 인식도 55.6%로 조사됐다.
농협의 홈플러스 인수론과 관련해 기대되는 점으로는 국내 농축산물 유통 확대와 물가 안정·식량안보 강화가 37.6%로 가장 높았다. 도심 유통망 확보 및 지역경제 활성화 18.3%, 온라인 배송 역량 강화 및 물류망 확대 13.8%, 해외 시장 개방 압력 대응을 위한 국내 경쟁력 강화 13.3%가 뒤를 이었다.
농협 내부에서는 인수에 따른 재무 부담 우려가 제기되는 가운데 국민 여론은 다소 차이를 보였다. 지역조합·농가 성장과 국내 유통망 보호를 기대한다는 응답이 38.1%, 규모의 경제 구축과 장기적 재무건전성 강화가 13.8%로 긍정 의견이 51.9%로 과반을 차지했다. 반면 재무 부담을 우려한다는 응답은 33.5%였다.
홈플러스의 인수 주체로 일부 AI 기업, 부동산 개발회사 등은 유통 역량이 없어 실패 가능성이 높다는 응답이 41.7%로 나타났고 산업 융합 기회가 될 것이라는 긍정 의견은 21.3%에 그쳤다.
향후 전망에서는 ‘법원 명령에 따른 청산 가능성’이 30.8%로 가장 높았고 ‘새로운 기업에 인수될 것’ 28.0%, ‘구조조정 이후 중소 오프라인 유통기업으로 남을 것’ 24.3% 순이었다.

정부 개입 필요성에 대해서는 고용·상권 보호를 위한 공공경제적 개입 25.9%, 세제 혜택·규제 완화 등 산업정책 지원 22.4%, 한시적 금융 지원 등 제한적 개입 20.4%가 비슷한 수준으로 조사됐다. 매각 지연 이유로는 오프라인 대형마트 경쟁력 약화와 온라인 시장 성장(52.6%)이 가장 크게 꼽혔으며, 노사 갈등 등 내부 문제 27.6%, 전통시장 육성 등 정부 정책 9.2% 순이었다.
홈플러스가 청산되거나 폐점될 경우 우려되는 점으로는 대규모 실직 사태가 38.9%로 가장 많았다. 입점 점주 및 협력업체 도산 27.8%, 지역 상권 붕괴 및 소비 위축 11.3%, 주민 생활 불편 11.3% 등이 뒤를 이었다. 대형마트 도산의 지역경제 영향에 대해서도 지역 일자리 감소로 인한 충격을 우려하는 응답이 37.1%로 가장 높았다.
이번 조사는 리얼미터가 제보팀장의 의뢰로 지난 18일 무선 100% 임의 전화걸기 방식으로 진행했고 응답률은 3.9%로 최종 응답자는 1012명이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다. 통계보정은 지난 10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기준 성별·연령·권역별 림가중 방식으로 이뤄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