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남일보 이연지 기자] 대전 대덕구가 AI(인공지능)·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건강·행정 혁신과 함께 산업현장, 아동 등 생활 전반의 안전 인프라를 체계적으로 확충하며 주민 삶의 질 향상에 속도를 내고 있다.
구는 2024년 7월, 대전북부주민건강센터에 대전시 최초로 '스마트 헬스케어 플랫폼'을 열고 지역 인구구조 변화와와 만성질환 증가에 대응하는 디지털 건강관리 체계를 구축했다. 이 플랫폼은 인공지능 기반 건강측정 장비로 혈압, 혈당, 체성분 등 주요 데이터를 스스로 측정하면, AI가 분석해 모바일 앱으로 실시간 건강관리 솔루션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또 중부권 최초로 '스마트 어린이 건강체험관'을 개관, 어린이가 놀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건강을 배우는 환경을 만들었다. 체험관은 AR(증강현실), VR(가상현실), 인터랙티브(양방향, Interactive) 실감 기술을 등을 활용해 아이들이 직접 움직이며 신체활동과 건강지식을 배울 수 있도록 구성됐다.
구는 행정 분야에서도 디지털 전환을 적극 추진해 주민 편의를 실질적으로 높이고 있다. 구가 2024년 대전시 자치구 최초로 도입한 '지방세 체납 카카오톡 알림 서비스'는 스마트폰에서 체납 내역 확인부터 결제까지 가능해 호응이 높다.
특히 현재 재산세·주민세·자동차세, 면허세까지 정기분 지방세 전반은 물론, 납기 내 고지서 미수령자에게도 적용하고 있다. 종이 고지 대비 43.5%의 예산 절감은 물론 납세 편의 향상, 체납 징수율 제고 등 다양한 효과도 나타났다.
이와 함께 2024년 8월부터는 전자문서 안내 및 고지 발송 서비스, 'OK 대덕 애플리케이션'을 운영하고 있다. 이 서비스는 법적 효력을 가진 공문을 휴대전화로 즉시 받아 볼 수 있으며, 민원 신청까지 가능하다.

구는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 관리 혁신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대전 자치구 최초로 하수시설 밀폐공간 안전관리 의무화 제도를 도입, 올해 10월부터 모든 하수작업 현장에서 근로자의 보디캠(착용형 카메라)과 가스 농도 측정기 착용을 의무화했다.
아울러 생활 안전 인프라 확충에도 힘쓰고 있다. 2023년 대전 자치구 최초로 유치원·어린이집·초등학교 반경 500m까지 아동보호구역 155곳에 대한 전면 지정을 완료했으며, 모든 구역에 CCTV를 설치해 등·하교 안전을 체계적으로 보장하고 있다.
앞으로도 구는 위험 요인에 대해 선제 대응하고 스마트 기술을 접목한 디지털 행정을 지속 확장해 주민 삶의 질을 높여나갈 방침이다.
최충규 대덕구청장은 "주민의 생명을 지키는 안전 정책과 일상을 편리하게 만드는 스마트 행정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지역 특성에 맞는 혁신을 속도감 있게 추진해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도시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