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정청래 신임 당대표가 2일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전국당원대회에서 당대표직 수락연설을 하기 위해 무대에 오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신임 당대표가 2일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전국당원대회에서 당대표직 수락연설을 하기 위해 무대에 오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충남일보 한내국 기자] 이달 9일로 취임 100일을 맞은 이재명 정부 첫 여당 정청래 대표에 대한 긍정평가와 함께 내년 지방선거 승리를 위한 숙제가 동시에 제기되고 있다.

전광석화 폭풍 개혁을 공언하면서 이재명 정부의 첫 여당을 이끈 정 대표는 자칭 검찰·사법·언론 3대 개혁에 드라이브를 걸면서 입법 모멘텀을 유지, 강성 지지층으로부터 긍정 평가를 받고 있다.

반면 급가속하는 과정에서 대통령실과 온도차와 함께 최근에는 재판중지법을 놓고서는 공개 경고도 받는 등 대통령실과의 소통이 긴밀하지 않다는 지적도 받으면서 내란 완전 종식을 이유로 대야(對野) 관계 등에서 취하는 강경 일변도가 이재명 대통령에게 부담을 준다는 비판도 일각에서 나온다.

▲강한 정책 추진으로 성과속 풀어야 할 난제도 산적=정 대표는 8·2 전대에서 승리한 직후 검찰·사법·언론 개혁에 대한 전담 특위를 꾸려 속도감 있게 추진하며 개혁 드라이브에 박차를 가해 자신이 공약한 검찰개혁을 돌파했다. 

이어 언론3법 등을 통과시켜 이른바 개혁입법은 이뤘으나 중도층 확장 등에는 성공하지 못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당초 강력한 정책추진은 과반수를 넘는 당내 정족수 역할도 컸지만 강력 드라이브 일변도가 여야 협치를 중요시 하는 이재명 대통령의 입장과 내란청산이라는 과제가 서로 충돌하면서 남은 과제 수행에 부담으로 작용한 셈이다.

이 기간 성과로 보면 당정 간 속도 등을 놓고 조율 끝에 지난 9월 검찰청 폐지와 수사·기소 분리를 골자로 한 정부조직법 개정안을 통과시키면서 검찰청은 내년 10월 폐지된다.

민주당은 사법개혁 차원에서 대법관 증원, 법관 평가제 도입, 재판소원제, 법왜곡죄 등을 입법 과제로 선정하고 이를 추진하는 중이다.

언론 개혁 측면에서는 전대 전부터 추진됐던 '방송 3법'(방송법·방송문화진흥회법·한국교육방송공사법)의 입법을 완료했다.

나아가 언론과 유튜버의 '허위조작 보도'에 대해 손해액의 최대 5배까지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도록 한 정보통신망법 개정안의 입법을 추진하고 있다.

여기에 경제 입법으로는 '더 센 상법'으로 불리는 2차 상법 개정안과 노란봉투법(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개정안)도 민주당 주도로 국회 문턱을 넘었다.
 

이재명 대통령이 8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여야 지도부 오찬 회동에 참석한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와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가 악수하는 모습을 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8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여야 지도부 오찬 회동에 참석한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와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가 악수하는 모습을 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중도층 견인, 내년 지방선거 승리 숙제 산적=중도층 견인에 한계를 맞으면서 정체된 지지율과 내년 지방선거의 승리를 위한 리더십 문제가 정 대표의 가장 큰 숙제로 남게됐다. 

이는 그동안 정책 추진 과정에서 대통령실과의 엇박자, 원내대표와의 갈등설 등으로 불거진 리더십 논란 등이 불거지면서 앞으로의 행보가 주목을 끌 전망이다.

정 대표는 연내 개혁과제를 완수하고 내년부터는 민생 중심 정책 행보를 통해 지방선거에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3대 특검 수사가 종료되는 것과 맞춰 '내란 청산' 국면을 정리하고 정책 이슈를 통해 민심 공략에 나선다는 계산에 따른 것이다.

여기에는 내란 청산 이슈에 대한 국민적 피로감이 커질 수 있는 데다 중도 공략 없이는 지방선거에서 승리할 수 없다는 판단이 깔려있다.

만약 내년 6월 지방선거에서 승리할 경우 정 대표도 정치적으로 한단계 더 발돋움할 수 있으나 패배 시에는 내년 8월까지 임기를 채우지 못할 가능성도 있다.

이런 점에서 지방선거 승리가 정 대표 앞에 놓인 최대 과제라는 평가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충남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