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지역의 제조업 생산과 수출이 회복 흐름을 보이고 있으나 투자와 건설 부문은 침체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사진제공=연합뉴스)
대전지역의 제조업 생산과 수출이 회복 흐름을 보이고 있으나 투자와 건설 부문은 침체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사진제공=연합뉴스)

[충남일보 이승우 기자] 대전지역 실물경제가 9월 들어 제조업 생산과 수출을 중심으로 회복 흐름을 보였으나 설비·건설투자는 약세를 이어가며 지표별 온도 차가 뚜렷해졌다.

한국은행이 17일 발표한 ‘지역 실물경제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대전지역 9월 제조업 생산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12.7% 증가해 8월 –3.0%에서 반등했다.

2025년 1~3분기 생산이 등락을 보였으나 9월에는 월별 기준으로 뚜렷한 회복세가 나타났다. 이는 전국 생산 증가율(+12.1%)과 비슷한 수준이다.

업종별로는 경공업이 23.0%, 중공업이 5.7% 증가했다. 경공업에서는 담배(+16.3%), 식료품(+21.5%)이 증가했고 중공업에서는 기계·장비가 -13.8%에서 18.8%로 전환되며 회복을 주도했다.

전자‧영상‧음향‧통신도 -7.3%에서 8.6%로 늘었다. 화학물질·제품은 33.9% 증가하며 두 달 연속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출하 역시 20.3% 증가해 생산이 실제 출하까지 이어지고 있으며 재고는 -20.6% 감소해 재고조정 흐름이 지속됐다.

반면 소비는 개선됐다. 대형소매점 판매는 -3.6%로 8월(-7.2%)보다 하락 폭이 줄었고 백화점은 0.5% 증가로 전환됐다. 대형마트는 -10.1%로 부진이 이어졌다. 승용차 신규등록은 25.5% 증가해 8월(11.9%)보다 회복 폭이 커졌다.

투자는 약세를 보였다. 자본재 수입은 -6.1%로 8월 19.8% 증가에서 감소로 전환됐고 설비투자BSI는 9월 86으로 기준치(100) 이하에서 정체됐다. 다만 10월 BSI가 92로 소폭 상승했다.

건설부문도 부진했다. 건축착공면적은 8월 589.4% 증가 이후 9월 -39.2%로 감소 전환됐고 건축허가면적도 -70.1%로 감소 폭이 확대됐다. 미분양주택은 2485호에서 2282호로 줄었으나 전반적 건설 투자 흐름은 약세다.

수출·수입은 큰 폭으로 개선됐다. 수출은 39.8% 증가해 8월 -10.1%에서 반등했다. 자동차·부품은 -10.8%에서 26.5% 증가, 계측제어분석기는 102.1%로 급증했다.

아울러 연초류는 29.6%로 두 자릿수 성장세를 유지했으며 반도체는 -10.0% 감소로 부진했으나 8월(-26.9%) 대비 감소 폭은 축소됐다.

수입도 12.0% 증가로 반등했다. 자동차·부품 수입은 119.7%, 계측제어분석기는 87.6% 늘었다. 9월 수출입차는 1억800만 달러로 8월 대비 흑자 폭이 확대됐다.

고용은 개선세가 유지됐다. 취업자 수는 3만7100명 증가해 8월(3만2900명)보다 증가 폭이 확대됐고 서비스업 취업자가 4만6100명 증가해 고용 회복을 이끌었다. 이 중 제조업 취업자는 1500명 증가로 플러스 기조를 유지했다.

고용률은 62.9%로 전년 대비 2.5%p 상승했고 실업률은 2.2%로 안정적인 상태를 보이고 있었다.

그러나 물가는 상승 폭이 커져 소비자 가계 부담은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10월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2.3%로 9월(2.0%)보다 올랐다.

특히 농축수산물(+4.2%)과 공업제품(+2.2%) 상승이 확대됐고 석유류는 4.7%로 물가 상방 요인으로 작용했다. 서비스 물가는 2.2%로 소폭 상승했다.

주택시장은 하락 폭이 줄었다. 9월 주택매매가격은 -0.11%로 8월(-0.12%) 대비 개선됐고 전세가격도 -0.03%로 조정 폭이 크게 감소했다. 아파트 매매·전세 역시 하락 폭이 축소됐다.

지역경제계 한 전문가는 “9월 대전지역 경제는 제조업 생산과 수출의 회복, 고용과 소비의 개선, 미분양 감소와 주택가격 하락 폭 축소 등 긍정적인 신호가 뚜렷해진 반면 자본재 수입 감소 전환과 건축허가·착공 부진, 물가 상승률 확대 등은 여전히 부담 요인으로 남아 있다”며 “생산과 대외 수요 개선이 설비·건설투자 회복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가 향후 지역 경기의 지속 가능성을 가늠할 핵심 지표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물가가 2%대 초반의 상승 흐름을 유지하는 가운데 실물 회복과 물가 부담 사이의 균형을 어떻게 맞출지가 정책과 시장 모두에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충남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