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포신도시 이전 옛날 전경.
내포신도시 이전 옛날 전경.

[충남일보 우명균 기자] 오는 28일이면 충남도청이 대전에서 내포신도시로 이전한 지 12년을 맞게 된다. 민선 6기 안희정 충남지사 시절 이전을 시작해 민선 7기를 거쳐 민선 8기에 이른 지금 내포신도시 발전에 공을 들였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더디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이에 따라 본보는 내포신도시 현황과 문제점, 대책 등 세 차례에 걸쳐 시리즈로 점검한다. <편집자 주>

2012년 충남도청 내포신도시 이사 환영 행사.(사진= 충남도 제공)
2012년 충남도청 내포신도시 이사 환영 행사.(사진= 충남도 제공)

지난 2012년 12월 28일 오랜 역사를 자랑하며 대전광역시 중구 선화동에 위치했던 충남도청은 허허벌판이었던 홍성·예산 일원의 내포신도시로 이전했다.

당시 충남도청 이전을 환영하는 행사가 곳곳에서 열렸다. 충남도청에서는 발전과 번영을 기원하는 고사를 지냈고 환영 퍼레이드는 예산수덕사 톨게이트와 신양 톨게이트에서 동시에 시작됐다.

홍성군 취타대와 예산군 풍물단이 이끈 퍼레이드는 주민들의 환영을 받으며 홍성 조양문, 예산 버스터미널을 거쳐 내포신도시 신청사에 도착했다. 이날 환영 행사와 함께 충남도청의 ‘내포신도시 시대’ 막이 올랐다.

2012년 12월 내포신도시 충남도청 전경.
2012년 12월 내포신도시 충남도청 전경.

그렇다면 12년이 지난 지금 내포신도시의 발전상은 어떨까. 도에 따르면 내포신도시는 2006년 도청 이전 예정지 결정과 2007년 도청이전 신도시 도시개발구역 지정에 따라 홍성군 홍북읍과 예산군 삽교읍 일원 995만 1729㎡에 조성돼 거의 마무리됐다.

지난달 말 기준 부지 조성 완료 면적은 991만㎡로, 공정률 99.8%에 달한다. 기관‧단체는 유치 대상으로 잡은 107개 중 104개가 신도시나 인근 지역으로 이전했고 3개는 이전을 추진중이다.

유치 대상 외에 24개 기관‧단체가 내포신도시 안팎에 새롭게 터를 잡았다. 도시첨단산업단지 내 산업시설용지 40만 2137㎡ 가운데 분양 면적은 가계약을 포함해 56%로 나타났다.

공동주택은 43개 단지 가운데 24개 단지가 완료됐고 4개 단지가 건설 중이다. 9개 단지는 시행 및 인허가가 진행중이며 6개 단지는 미추진이다. 교육시설은 16개시설 가운데 개교 11·미개교 5개소(유1, 초2, 중1, 대1)로 집계됐다.

충남대 내포캠퍼스는 오는 2027년 신입생 입학을 목표로 3개 학과, 2개 대학원, 1개 특수대학원 규모로 추진중이고 카이스트 영재학교도 2028년 개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내포신도시 랜드마크로 꼽히는 충남도서관은 지난 2018년 문을 열었고 충남미술관은 2027년 개관을 목표로 하고 있고 충남 예술의 전당은 이르면 2028년에 준공될 예정이다. 국제 규모의 충남스포츠센터는 올해 말까지 공사를 마치고 시범 운영에 들어가며 민간에서 개발 중인 9홀 규모의 퍼블릭 골프장은 내년 상반기에 개장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민선 8기 충남도의 핵심 사업인 내포신도시 홍예공원 명품화 사업도 속도를 내고 있다. 홍예공원 명품화 사업은 홍예공원을 중심으로 용봉산과 수암산, 예술의 전당, 미술관, 충남도청을 아우르는 세계적인 수준의 공원을 만들기 위한 민선 8기 대형 프로젝트다. 특히 본보가 집중적으로 다뤘던 홍예공원 내 황톳길 설치 역시 확정됐다.

또한 충남도 내 유일한 지상파 라디오가 될 도로교통공단(TBN) 충남교통방송국은 이르면 내년 7월쯤 문을 열고 가동을 본격화할 전망이다.

2024년 최근 충남도청 전경.
2024년 최근 충남도청 전경.

이 같이 내포신도시가 12년에 걸쳐 정주 여건이 마련되고 기반이 조성됐지만 현재 인구는 4만 명 정도다. 지난 민선 7기부터 2020년 10만 명을 목표로 내세웠 것에 비하면 목표 대비 40% 정도에 불과하다. 그만큼 발전의 속도가 느리다는 방증이다.

도 관계자는 “내포신도시는 그동안 기관‧단체가 속속 자리잡고 도시의 면모를 갖춰 왔으나 공공기관 및 기업 유치 등에 한계를 보이며 당초 계획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내포신도시가 명실공히 충남의 행정타운이자 수부도시로 자리잡도록 공공기관 및 민간기업 유치, 정주여건 개선 등에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덧붙였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충남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