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장철민 의원이 주최한 나노반도체산단 어떻게 만들어 낼 것인가 토론회가 진행되고 있다. 있다.[사진제공=장철민 의원실]
더불어민주당 장철민 의원이 주최한 나노반도체산단 어떻게 만들어 낼 것인가 토론회가 진행되고 있다. 있다.[사진제공=장철민 의원실]

[충남일보 한내국 기자] 국회 산업통상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장철민 의원(대전 동구)이 14일 대전 나노반도체산단 어떻게 만들어 낼 것인가 토론회를 주최했다. 

장 의원은 반도체와 국가산업단지 정책을 총괄하는 산자위원으로 나노반도체산단 문제해결을 위해 지속적인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나노반도체국가산단은 2023년 국가산단 후보지를 선정되어 대전시와 LH가 함께 준비되고 있었으나, 8월 KDI 예비타당성조사 과정에서 수요가 9.7%만 확보된 것으로 인정되어 예비타당성조사를 철회하는 등의 위기에 처해있다. 

장철민 의원이 주최하고 LH대전충남본부에서 열린 이번 토론회는 예비타당성조사 철회 이후 대전 나노반도체 국가산단의 향후 추진 전략에 대한 현실적 논의가 이어졌다. 

LH와 경남대 양승훈 교수의 발제가 있었으며, 국토부.산업부와 SK하이닉스 측이 토론에 나섰다. 대전 기업계를 대표해서는 박기태 물산업협동조합 이사장이 토론자로 참석했다. 대전 서구갑의 장종태 국회의원도 참여해 힘을 보탰다.

발제자로 나선 양승훈 경남대 교수는 대전의 입지를 높게 평가했다. 그는 “수도권은 고부가가치 생산기능이 집중되며 비수도권은 단순 생산기지로 전락하고 있는 상황에서, 대전은 R&D·인재·인프라의 삼박자를 갖춘 몇 안 되는 도시”라며 “대전은 지역 단위 산업 부흥전략의 실험 도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단기적으로는 대전을 허브로 삼고 장기적으로는 전국적 공급망 생태계를 연결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번 토론회는 특히 이례적으로 국내 반도체 TOP2 기업인 SK하이닉스가 직접 토론자로 참석해 관심을 모았다. SK하이닉스 정상록 부사장은 “반도체 산업은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얼마나 과감하고 혁신적인 지원을 하느냐가 산단 성패의 관건”이라고 강조했다.

정상록 부사장은 특히 “대전은 KAIST·ETRI 등 연구역량이 뛰어나고 정주여건이 좋다”며 “연구개발 중심의 팹리스 생태계를 구축한다면 충분한 경쟁력이 있다”고 평가했다. 또 “대전은 연구 인프라와 정주 여건이 뛰어난 만큼 R&D 기반의 팹리스·장비기업 중심 산단으로 특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I 반도체의 새로운 물결이 열리는 만큼 새로운 기회가 있다”고 조언했다.

박기택 물산업연구조합 이사장은 “대전을 ‘반도체 생산장비 클러스터’로 명확히 포지셔닝해야 한다”며 “대전 외 지역 기업이 굳이 대전으로 올 필요성이 명확해야 관심을 가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정부 부처 역시 이날 토론회에서 대전에 대한 기대와 함께 명확한 방향 설정의 중요성을 언급했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축사에서 “반도체 생태계 구축은 국가 제조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과제이며, 정부도 ‘K-온디바이스 AI반도체 프로젝트’와 대규모 R&D 예산을 통해 뒷받침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대전은 과학기술의 중심지로, 대전에서 더 다양한 첨단산업이 추진되길 기대한다”고 말해 대전에 대한 정책적 의지를 분명히 했다.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 역시 “나노·반도체 산업은 국가 경쟁력의 핵심이며, 대전은 연구기관과 전문인력 집적도가 높아 국가산단 추진 시 첨단기술 사업화와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동시에 이끌 수 있는 도시”라고 평가했다. 김 장관은 “정부도 관계기관과 협력해 나노반도체 국가산단이 신속히 조성될 수 있도록 절차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장철민 의원은 이장우 시장의 부족한 준비에 대해 날을 세웠다.“대전시는 기업 수요를 300% 확보했다고 주장했지만 실제 KDI 예타에서는 9.7%만 인정되며 사업이 철회되는 결과를 초래했다”며 “이는 단순한 절차상 하자가 아니라 행정의 기본이 흔들린 결과”라고 지적했다. 

장 의원은 “유등교 가설교 안전관리 부실, 트램 복공판 공법 논란 등 대형 사업에서 반복된 부정확한 행정이 결국 산업단지 추진에도 악영향을 미쳤다”며 비판했다.

장 의원은 이어 “대전 나노반도체 국가산단은 국가균형발전과 산업전략의 분기점이 될 수 있는 사업”이라고 강조하며, 특히 SK하이닉스의 참여에 대해 “기업의 시각에서 대전의 장단점을 직접 들을 수 있는 기회이며, 대전 산단의 방향성을 재설정하는 데 큰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장철민 의원은 “대전이 다시 대한민국 기술혁신의 중심에 서기 위해서 필요한 제도 정비를 적극 추진하겠다. 이장우 시장의 준비 부족으로 예타가 중단된 상황이지만, 오늘 토론회를 통해 대전 산단이 다시 설계될 수 있는 중요한 전환점이 마련됐다”며 “대전의 미래 산업 기반을 반드시 되살려내겠다”고 덧붙였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충남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