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남일보 윤근호 기자] 우리나라 성인 3명 중 1명이 비만인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대전·충청권 역시 최근 수년간 비만율이 꾸준히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질병관리청이 최근 ‘2024 지역사회건강조사’를 기반으로 분석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국내 성인 비만율은 34.4%로, 10년 전 약 4명 중 1명(26.3%) 수준이었던 것보다 30.8% 증가했다.
이 중 남성의 비만율은 41.4%, 여성은 23.0%로 나타나 남성이 여성보다 약 1.8배 높았다. 또 남성의 경우 30대(53.1%)와 40대(50.3%)가 비만율이 높아 2명 중 1명이 비만이었으며, 여성은 고령층인 60대(26.6%)와 70대(27.9%)에서 상대적으로 비만율이 높았다.
지역별로 보면 대전·세종·충북·충남 등 충청권에서도 비만 인구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었다. 2015년과 비교할 때 네 지역 모두 비만율에서 상승세를 기록했다. 이 가운데 충남은 전국에서 세 번째로 증가폭이 큰 지역으로 집계됐다.
다만 비만율은 충청권 내에서도 지역 간 격차가 두드러졌다. 세종과 대전은 비만율이 오르는 추세였으나 전국에서 가장 날씬한 도시로 꼽혔다. 세종이 29.1%, 대전은 29.5%로 가장 낮은 비만율을 보임과 동시에 20%대도 두 지역뿐이었다.
반면 충남의 비만율은 35.6%, 충북은 34.7%로 전국에서 전남(36.8%)과 제주(36.8%), 강원(35.9%)에 이어 상위권에 속해 있었다.
또한 최근 3년 평균 비만율을 시군구별로 보면 대전 서구는 23.1%로 전국에서 경기 과천(22.1%)에 이어 두 번째로 낮은 비율을 보였다. 다만 충북 단양군은 44.6%로 비만율이 가장 높은 지역이었다.
이 같은 비만 증가세는 세계적으로 지속되고 있다. 생활습관 변화, 활동량 감소, 서구화된 식단 등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우리나라(36.5%)는 OECD 평균(56.4%)보다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맞춤형 건강관리 정책 강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온다.
OECD 보건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36.5%)는 OECD 평균(56.4%)보다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질병관리청은 생활습관 변화와 서구화된 식단의 영향으로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어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맞춤형 건강관리 정책 강화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최근 비만 치료제 사용이 활발해 지면서 체중 조절, 다이어트 등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라며 “앞으로도 비만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건강조사, 국민건강영양조사 등을 통해 만성질환 예방 및 관리의 근거 생산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