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녕/대전변동중학교 교육복지사
이상녕/대전변동중학교 교육복지사

내년 3월 1일  '학생맞춤통합지원에 관한 법률'이 전국 초·중·고교에서 전면 시행된다. 위기 학생을 조기에 발견하고, 학교 안팎의 자원을 연계하여 학생 중심의 맞춤형 통합지원을 제공한다는 이 법의 취지와 철학은 분명하다.

나는 현재 대전시교육청의 ‘학생맞춤통합지원 연구단’에 참여하고 있다. 지난 1년간 선행연구 분석, 해외 주요 사례 및 타지역 우수 사례를 종합적으로 검토하며, 대전 교육 현장에 실현 가능한 맞춤형 지원체계를 어떻게 정립할 수 있을지 모색해 왔다.

학생맞춤통합지원은 단순한 새로운 사업이 아니다. 기초학력, 교육복지, 학교밖청소년 등 학교 안에 흩어져 있던 모든 지원사업을 하나의 체계 안에서 통합함으로써, 학생 개개인의 필요에 맞는 맞춤형 지원이 가능해진다. 동시에 예산 집행의 효율성과 교사의 업무 경감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획기적인 변화다.

하지만 제도의 효과적인 안착을 위해서는 반드시 체계적인 준비와 실행 전략이 필요하다. 현장의 교사와 교육전문인력이 긴밀히 협력하고, 시교육청이 이를 유기적으로 조율할 수 있는 컨트롤타워를 갖추는 것이 핵심이다.

이와 관련하여 핀란드의 ‘학생복지팀(Student Welfare Team)’은 하나의 모범 사례가 될 수 있다. 복지, 교육, 심리, 보건 전문가가 함께 개별 학생의 상황을 통합적으로 논의하고 맞춤형 계획을 수립하는 이 시스템은, 학맞통이 지향하는 바를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서울시교육청의 경우, 학생맞춤통합지원 전담 조직을 기획국 내에 신설하여 수십 명의 전문인력과 함께 제도 시행을 준비하고 있다. 반면, 우리 대전은 아직 조직 체계가 미비한 상황이다. 내년 전면 시행을 앞두고 아쉬운 부분이지만, 지금이라도 학교 현장과 지속적으로 소통하며 조직 개편과 인력 확충, 사례협의 중심의 구조 설계 등 현실적인 실행 전략을 함께 마련해 나간다면, 대전도 충분히 전국적인 모범이 될 수 있다고 믿는다.

이 변화의 시작은 교육청과 학교가 함께 만들어가는 신뢰의 시스템 위에서 출발해야 한다.

기다릴 시간은 없다. 지금이 바로, 함께 준비할 때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충남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