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남일보 김현수 기자] 국내 기업 10곳 중 6곳 이상이 오는 2030년이 되면 10대 주력 산업 전 분야에서 중국의 기업경쟁력이 한국을 앞설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는 한국경제인협회(이하, 한경협)가 10대 수출 주력업종을 영위하는 매출액 10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미·일·중 기업경쟁력 현황 및 전망 조사’ 결과로 이번 조사에는 200개 기업이 참여했다.
기업들은 2025년 기준 최대 수출 경쟁국으로 중국(62.5%)을 가장 많이 지목했다. 미국(22.5%), 일본(9.5%)이 뒤를 이었다. 5년 뒤인 2030년에도 중국을 최대 경쟁국으로 꼽은 기업이 68.5%로 더 늘어났다.
조사에 따르면 국내 기업들은 한국의 경쟁력을 100으로 봤을 때 2025년 중국의 경쟁력을 102.2, 미국은 107.2, 일본은 93.5로 평가했다. 2030년 전망치는 미국 112.9, 중국 112.3, 일본 95.0으로 나타났다. 한국보다 먼저 격차를 벌리는 국가는 미국이지만, 중국의 추격 속도는 더 빠르게 평가됐다.
2025년 기준 중국은 ▲철강 ▲일반기계 ▲이차전지 ▲디스플레이 ▲자동차·부품 등 5개 업종에서 이미 한국보다 높은 경쟁력을 보유한 것으로 조사됐다. 현재 한국은 반도체와 선박 등 5개 업종에서 우위를 유지하고 있지만 기업들은 2030년이 되면 10대 산업 모든 분야에서 중국이 한국을 앞지른다고 응답하는 등 업종별 비교에서도 경쟁력 우위 지역이 확연히 바뀌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경협 관계자는 “기업들은 이미 우리 기업경쟁력이 중국과 미국에 뒤처졌다고 판단하고 있다"며 "중국은 앞으로 미국과 대등한 경쟁력을 확보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해석했다.
국내 기업들은 중국이 가격경쟁력(130.7)과 생산성(120.8)에서 한국보다 압도적으로 앞선다고 평가했다. 미국은 상품브랜드(132.0), 전문인력(126.2), 핵심기술(124.0) 분야에서 우위를 보이는 등 세부 경쟁력 요인에서도 중국과 미국의 강점은 뚜렷했다.
국내 기업들이 꼽은 가장 큰 애로 요인은 국내 제품 경쟁력 약화(21.9%), 대외 리스크 증가(20.4%), 내수 부진(19.6%), 핵심기술 인력 부족(18.5%) 순으로 나타났다. 정부에 바라는 정책으로는 대외 리스크 최소화(28.7%), 핵심 인력 양성(18.0%), 규제완화·노동시장 유연화 등 경제효율성 제고(17.2%)가 제시됐다.
한경협은 “중국의 기술·브랜드 경쟁력이 빠르게 강화되고 있어 기업들의 구조혁신과 정부의 미래산업정책이 동시에 요구되는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