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산 천수만 간척지 B지구 내 조성 예정인 충남글로벌홀티콤플렉스 스마트팜 단지. (사진제공=충남도)
서산 천수만 간척지 B지구 내 조성 예정인 충남글로벌홀티콤플렉스 스마트팜 단지. (사진제공=충남도)

[충남일보 이잎새 기자] 양복입고 농장에 출근해 농사를 지은 뒤 다시 양복으로 갈아입고 퇴근하는 것이 과연 가능할까?

이를 지향점으로 삼고 있는 민선 8기 충남도의 핵심 정책 중 하나인 ‘스마트팜’ 조성이 어떻게 전개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특히 이 사업이 성공적으로 완수되기 위해서는 부지 확보, 재원 마련, 전문인력 양성 등이 선행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충남도에 따르면 스마트팜은 첨단 기술을 도입함으로써 작물의 성장 조건을 정밀하게 제어·관리하는 방식의 농업을 일컫는다.

도는 민선 8기 안에 시·군마다 26개 스마트팜 단지를 조성하고 청년농 3000명 육성, 스마트농업 면적 252만4000평을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수립했다.

올해는 관련 예산 1568억 원을 확보하고 청년농 약 1800명 정도가 양성 과정에 있다.

먼저 도는 서산 천수만 간척지 B지구 충남글로벌홀티콤플렉스 내 스마트팜 선진지인 네덜란드의 시설·기술을 이식한 11만8800㎡ 규모의 스마트팜 시설 조성을 준비 중이다.

이를 위해 도는 지난달 네덜란드 관련 기업인 SHS와 투자양해각서를 체결했고 9월달까지 마감인 네덜란드 정부 주관 공모 사업에 대비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네덜란드 순방 중 ‘충남글로벌홀티콤플렉스’의 선도 모델들을 살펴보고 있는 김태흠 충남지사. (사진제공=충남도)
네덜란드 순방 중 ‘충남글로벌홀티콤플렉스’의 선도 모델들을 살펴보고 있는 김태흠 충남지사. (사진제공=충남도)

부여 스마트 원예단지 내에도 내년까지 222억 원을 투입해 지원센터를 포함한 스마트팜 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다.

다만 일부 시·군 지역에서 예산 문제 등으로 부지 확보가 지연되고 있는 점이 해결돼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충남도 농업정책과 관계자는 “시·군 단위에서 참여 기업들이 범위 내에서 부지를 구매하고 기반을 조성해야 하는데 일부 부지의 경우 기존 소유주들과 비용 관련 논의가 필요한 곳이 있다”며 “민선 8기 내에 기반 조성을 마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도는 스마트팜 도입을 통해 청년·후계 인력을 확보해 고령화로 인해 야기되는 농업 인력구조 불균형에 대응해 나가겠다는 방침이다.

충남에서 스마트팜 경영을 시작하는 청년농 대상 시공비 조정, 융자보증·이자지원을 통해 농촌에 안정적으로 정착하도록 돕겠다는 것이다.

실제로 지난 30년간 국내 농가 수는 지속 감소하고 있으며 1990년에는 11.5%에 불과했던 65세 이상 고령층의 비율이 2022년 기준 49.8%까지 대폭 늘어났다.

반면 같은 기간동안 40세 미만의 청년·후계 인력 규모는 14.6%(25만8000호)에서 0.7%(7000호)까지 급격히 줄어들면서 농업 인력 구조 불균형이 심각해졌다.

이와 관련 김태흠 충남지사는 8일 실국원장회의에서 “도지사 임기 시작 전 타 지역에서 스마트팜 혁신밸리 등을 준비하고 있는 상황임에도 충남은 스마트팜에 대해 관심이 전혀 없었다”며 “관련 부서 공무원을 비롯한 관계자들은 스마트팜 교육을 받고 그 분야의 전문가로 거듭나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충남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