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포취재본부장
내포취재본부장

이번 22대 국회의원 총선에서 충남 공주·부여·청양 선거구는 충청권은 물론 전국적으로 주요 관전지역으로 꼽혔다. 국회 부의장을 지낸 5선 중진의 국민의힘 정진석 후보와 문재인 정부 시절 국민소통수석비서관을 역임한 더불어민주당 박수현 후보간 3번째 리턴매치가 펼쳐졌기 때문이다. 충청권 내에서도 보수세가 강한 지역이어서 과연 어떤 결과가 나올지 역시 초미의 관심사였다.

개인적으로는 25년전부터 두 후보 공히 친분이 있는 인사들이어서 그 결과에 대한 관심은 배가됐다. 공적으로 언론의 입장에서 철저히 중립적인 시각을 견지했음은 물론이다.

선거 결과는 박빙의 승부를 펼친 끝에 박 후보가 2.24%p의 차이로 신승을 거뒀다. 지난 20대와 21대 총선에서 고배를 마셨지만 이번 세 번째 도전에서 당선의 영광을 누리게 됐다. 박 후보는 당선 소감에서 “이번 선거는 민심의 엄중함이 얼마나 무서운가를 보여준 선거”라며 “단지 민주당의 국회의원만이 아니라 국민의, 공주‧부여‧청양의 국회의원이 되도록 노력해 지역 발전의 원동력을 통합과 화합을 통해 만들어 내겠다”고 밝힌 것처럼 초심을 잃지 않는 의정활동을 기대한다.

낙선한 정 후보는 총선 패배 이후 인적 쇄신에 나선 윤석열 정부의 대통령실 비서실장 후임으로 낙점됐다. 현 정부 출범에 적지 않은 기여를 했고 내각은 물론 여야, 언론과 시민사회 등 모든 부분에서 원만한 소통에 적합한 인사라는 게 발탁 배경이다. 정 의원은 "더 소통하고, 통섭하고, 통합의 정치를 이끄는 데 미력이나마 보좌하겠다"고 각오를 다져 현 정부의 향후 국정 운영 과정에서 그의 역할론이 주목된다.

이번 총선의 정치적 함의는 단순히 요약하면 ‘윤석열 정부에 대한 심판론’으로 귀결된다. 집권 3년 차를 맞는 현 정부에 대한 중간 평가의 성격과 의회 권력을 장악한 민주당에 대한 평가가 선거 내내 여야의 핵심 ‘프레임’으로 작동됐다.

그러나 여당인 국민의힘이 들고 나온 야당 심판론, 선거 막판 불거진 더불어민주당 후보의 각종 설화와 논란 등도 결국 강력한 정권 심판론의 구도를 뒤엎지 못했다. 이에 따라 22대 국회는 21대보다 더 강화된 여소야대의 지형을 갖추게 됐다.

역대 선거가 방증하듯이 충청권이 민심의 바로미터라는 데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이번 총선 역시 대전·세종·충남에서 민주당이 압승을 거뒀다. 대전·세종·충남 전체 20석 가운데 민주당이 16석, 국민의힘이 3석, 새로운미래가 1석을 각각 차지했다. 충남의 전통적인 보수 우세 지역에서 3석을 얻은 국민의힘은 대전과 세종에서는 또다시 단 한명의 국회의원도 배출하지 못했다. 이번 선거에서 영호남의 골 깊은 지역주의가 여전히 팽배했지만 충청권은 전국의 민심을 정확히 반영했다.

흔히들 정치는 움직이는 생물에 빗대지만 민심의 잣대는 냉혹하다. 4년 전인 2020년 21대 총선에서도 민주당이 300석 가운데 절반이 넘는 183석을 차지했다. 그러나 민주당은 2년 뒤 치러진 대선에서 패배했다. 그 해 지방선거 역시 충청권의 경우 민주당은 참패했고 국민의힘이 광역단체장을 싹쓸이했다. 패인은 민심을 제대로 읽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역지사지(易地思之)로 최근의 선거를 복기해 보면 이번 총선 결과의 의미는 명약관화하다. 반사이익에 취해 마냥 축배를 들고 안주한다면 민심은 돌아선다는 경종을 울린다. 총선은 끝났지만 심판론에 파묻혀 지역 발전을 위한 정책과 공약은 무엇이었는지, 민생을 위한 대안은 무엇이었는지 도무지 체감하기 어렵다. 2년 뒤인 2026년에는 지방선거가 있고 다음 해인 2027년에는 대선이 기다리고 있다. 여야를 막론하고 민심을 헤아리지 못하고 민생을 챙기지 못하면 축배 (祝杯)가 아니라 독배(毒杯)를 들 수 있음을 각골명심해야 할 것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충남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